우리는 단순히 ‘불편함을 해결하는 서비스’를 만들지 않습니다.
리좀 프로젝트는 기존 교육·학습 구조의 문제에 대항하여 새로운 구조의 웹을 설계합니다.
우리는 그저 리좀 프로젝트가 제공하는 웹이 앞으로 다가오는 세상에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행동에 옮기고 있습니다.
세상에 내놓기 앞서, UI와 성능 최적화를 완성하기 위해 리좀 프로젝트와 함께 할 프론트 엔드 개발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학습 구조에 대한 제안
리좀 프로젝트는 기존 교육이 가진
정답 중심, 선형적 구조의 한계를 넘어서
사유의 흐름을 연결하고, 다양한 관점이 교차하는 새로운 학습 구조를 실험하는 웹입니다.
GPT와 같은 LLM 시대,
단순히 많은 양의 정보 축적보다 관점에 의한 해석이 중요한 지금,
우리는 기존의 구조가 놓치고 있는 학습 경험을 기술로 재정의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탈중앙화, 수평, 참여, 그리고 정신적 연결
리좀 프로젝트는 기존의 블로그의 웹과 다르게 글 그 자체보다,
그 글이 다른 글과 어떻게 연결되느냐를 중심에 둡니다.
리좀 프로젝트는 이를 지식 그래프 인터페이스 기반의 탈중앙화 네트워크 오픈 웹 플랫폼으로 구현합니다.
사용자는 자유롭게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주제를 깊게 다루는 글일 수도 있고, 생각의 단편을 남긴 짧은 메모일 수도 있습니다.
작성된 글은 다른 글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자신이 쓴 글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쓴 글을 선택해 연결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연결들은 웹 안에서 시각화된 형태로 보여집니다.
글과 글, 문장과 문장의 연결은 지식 그래프 구조의 인터페이스로 표현되며, 사용자는 이를 탐색하며 다양한 흐름을 따라가 볼 수 있습니다.
별도의 순서나 위계는 없습니다.
어떤 글이든 중심이 될 수 있고, 어디서든 새로운 연결이 출발할 수 있습니다.
각 글에는 고정된 분류가 없습니다.
카테고리 대신, 사용자가 직접 태그를 붙이거나 연결을 통해 의미의 맥락을 만들어갑니다.
이러한 매커니즘을 통해 사용자는 관점 중심의 능동적인 학습 구조를 경험합니다.
1. 글 작성
2. 노드 - 엣지 기반의 실시간 지식 그래프 시각화
3. 사용자 참여형 연결 생성
→ 현재 이 세 기능을 중점으로 MVP 제작 중에 있습니다.
1. 관리자 페이지
2. 회원가입 & 로그인 기능
3. (유저 확보 시) LLM 엔진을 통한 게시물 번역 버튼 기능 고려 중
(추후 협의를 통해 변경 가능)
프로그래밍 언어: TypeScript, JavaScript
프레임워크: Next.js
API 통신: tanstack Query, axios
패키지 매니저: npm
버전 관리: Git (GitHub 사용)
배포: Vercel
CSS: Tailwind CSS
버전 관리: Git + GitHub
협업 도구: Notion, Discord
우리와 함께 프로젝트를 설계해 나아갈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찾고 있습니다.
글 작성 인터페이스 구현
-사용자들이 사유 단위의 글을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는 UI/UX 설계 및 구현
-마크다운 또는 리치 텍스트 입력기 등 적절한 입력 환경 구성
-글 내부 구조와 연결 가능성까지 고려한 입력 구조의 유연성 설계
노드-엣지 기반 지식 그래프 시각화
-Cytoscape.js 혹은 D3.js 등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글 간의 연결 구조를 시각화하는 작업
-노드(글/문장)와 엣지(연결 관계)의 인터랙션 구현 (클릭 → 상세 보기 등)
-데이터가 많아질 경우를 고려한 그래프 퍼포먼스 최적화
글 간 연결 기능 개발
-사용자가 자신의 글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글을 연결할 수 있는 UI 구현
-연결 방식: 예) are.na 스타일의 수동 연결 / 제안 기반 연결 등
-연결 생성 시, 시각화 모듈과의 동기화 처리
반응형 디자인 및 Tailwind 기반 UI 구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도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반응형 UI 설계
-Tailwind CSS 기반으로 일관된 컴포넌트 스타일 구현
번역 및 다국어 대응 (향후 작업)
-향후 LLM 기반 번역 시스템과의 연동을 고려하여,
-다국어 인터페이스나 구조 설계의 기초 마련 (i18n 등)
SEO 고려 프론트 경험이 있으신 분
그래프 관련 라이브러리 이용 경험, 혹은 관련하여 관심 있으신 분
React/Next.js, TypeScript 실무 혹은 사이드 프로젝트 경험자
'Warm Heart'의 소유자
위에 언급된 우대 사항들보다 우리에게 가장 귀한 분은 리좀 프로젝트의 미션에 동의하고 함께 이루고자 하는 열정을 가진 분입니다.
함께 이뤄가는데에 있어 긍정적인 자세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보유하신 분, 끊임없는 학습 의지를 보유하고 계신 분이라면 충분합니다.
한 배에 올라탄 순간, 모두가 동등한 선원입니다.
이 배에 절대적인 선장은 없습니다.
모두가 함께 방향을 잡고, 함께 항해하는 동등한 선원들입니다.
현재 3인 (BE 2명, 기획 1명)의 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현재 백엔드 개발자들이 프론트엔드를 겸하고 있습니다.
철학과 기술이 함께 하는 만큼 두 영역의 균형과 조화를 중요시합니다.
기획은 지속적으로 구체화되고 있으며, 철학과 기술의 합의점을 찾아가며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개발자의 관점에서 나온 개발·기획 방향 및 구조 등 프로젝트에 대한 모든 의견 제시를 환영합니다.
매주 1회 스프린트 회고 미팅 외에는 카카오톡 기반 수시 소통을 지향합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 정보 얼라인먼트와 신속한 결정을 내립니다.
제어할 수 없는 영역에 대한 탁상공론보다 당장 실행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합니다.
업무 시간의 양보다 매 스프린트 목표 달성률에 초점을 맞춥니다.
리좀 프로젝트는 단순한 프로젝트성 실험으로 끝맺지 않습니다.
리좀 프로젝트의 미션은 파편화 된 사유를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비단 한국뿐 아니라 전세계에 파편화된 사유를 위해 더 넓게 나아가야만 합니다.
그렇기에 리좀 프로젝트는 LLM을 통한 웹의 글로벌화와
이를 지속가능하게 해줄 비즈니스 모델 구축 중에 있습니다.
이 여정을 함께하며, 사유의 생태계를 구축할 동료를 기다립니다.
프론트엔드 개발 외에도 리좀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분들의 피드백·제안·질문·지적 모두 환영합니다.
절차: 지원서 확인 → 커피챗
모집 기한: 상시 모집 (합류 시 마감)
본업이 있다면 본업 시간 외에 일정 시간의 꾸준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꾸준한 시간 투자가 많이 어려우실 경우 지원 전 신중히 고민 부탁드리겠습니다.
개인 일정으로 인한 업무량, 일정은 유연하게 조정 가능 합니다.
본인의 기술이 조금 부족하더라도, 본문에 언급된 조건에 완벽하게 맞지 않더라도, 우리는 뜻이 맞는 분들과 함께 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준비돼 있지 않다 생각이 드시더라도 편하게 연락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avascript
#Typescript
#NextJS
https://obsidian.md/
https://www.are.na/search?q=%7B%22term%22%3A%7B%22facet%22%3A%22rhizome%22%7D%2C%22where%22%3A%5B%7B%22facet%22%3A%22ALL%22%7D%5D%2C%22what%22%3A%7B%22facets%22%3A%5B%22TEXT%22%5D%7D%2C%22fields%22%3A%7B%22facets%22%3A%5B%22ALL%22%5D%7D%2C%22order%22%3A%7B
https://www.notion.so/Why-Rhizome-Project-1f6a1900d78380bd9a03c83cd99aef88?pvs=4
https://www.notion.so/Mission-of-Rhizome-Project-1f6a1900d783806496c4ef0d618359e0?pvs=4
이 프로젝트는 지원을 기다리는 중😁
프로젝트 지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