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2O
가장 쉬운 나만의 독립 카페 찾기
1. 프로젝트의 시작 동기- 혹시 카페를 찾는데 일하기 좋은 카페 찾기 힘들어서 그냥 근처 스타벅스를 가신적 있지 않으신가요?- 혹은 독특한 메뉴가 있거나 커피가 정말 맛있는 커피 매니아인데 그런 카페 찾기 어렵지 않으셨던가요?- 내 방문목적이나 취향에 따라 카페 찾는데 10분이상 시간을 투자 하시진 않으신가요?공감되신다면 저희 드링크뎁스 프로젝트에 함께해 주세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독립카페 시장의 마케팅 비용 및 효율 문제를 해결해준다.○ 다양한 독립카페의 정보를 내 취향에 맞게 찾는 시간을 10초 내외로 줄여준다.를 목표로 현재 제품을 검증해 나가고 있습니다.이런 문제 해결을 통해서 대한민국 카페 시장의 90%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독립카페들의 다양한 크리에이티브 문화를 더욱 촉진하여 글로벌 트렌드 시장의 허브의 중심축을 만들어 가는것이 목표 입니다.● 타겟→ 우리 카페만의 특장점을 홍보하고 싶은 독립 카페(메뉴,인테리어,테마,등등)→ 독립카페를 내 취향과 목적에 맞게 쉽게 찾고 싶어하는 방문이용고객 유형의 카페 유저층● 검증 내용저희팀은 제품 개발 이전 효율적인 비즈니스 검증을 위해 제품 개발 대신 페르소나 형태의 서비스 라인(pre- mvp)을 구축하여가설 검증을 진행 했습니다.○ 주요 검증 내용1) 독립카페를 찾고 싶어하는 유저층들은 실질적으로 어떤 데이터에 반응하여 실제로 카페를 방문하는지.그리고 어떤 갈증이 나서 우리 서비스를 찾아 주는지에 대해서 테스트를 약 한달간 진행 했습니다.카카오톡 채널과 tally , 구글 시트를 활용하여, 약 한달간 50여명에게 유저 목적과 취향, 우선순위에 따른 카페 정보 제공을 수백건 정도 진행 하였으며노출대비 클릭 60% 이상 현금 흐름검증, 재방문 검증 지표까지 확보 했습니다. (기존 기성 서비스 대비 최대 수십배 이상 퍼포먼스)추가적으로 해당 과정에서 디테일한 인사이트와, 앞으로 해결 해야 하는 과제들을 발굴 하였습니다.2) 그리고 독립 카페사장님들은 어떤 부분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지, 가장 힘든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 고객들과 소통하는 일을 주로 진행 하였습니다.그리고 독립카페 사장님들이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와 기존 서비스들의 한계점 도출, 그리고 저희가 수집한 유저들이 원하는 카페들 데이터들을 크로스 체크하여 유저들에게 효과적인 카페 정보 입력 시트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더불어 버티컬 커피(카페)커뮤니티에 글 배포 하여 가맹 희망 카페 사장님들을 조기 확보하여, 현 제품 테스팅 및 피드백 협업 제안을 받은 상황 입니다.3) 궁극적으로 이 둘간의 정보 편차는 존재하였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연결해 줄 별도의 버티컬 O2O 서비스 형태로 만들어 가고자 합니다.모은 지표,피드백,고객 페르소나를 바탕으로 ux 를 재설계 및 기술 인프라 및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경쟁사 및 진입 가능 시장은?현재 마켓의 상황은 스타벅스 사이렌 오더, 패스오더 , 등의 온라인 카페주문 서비스를 예제로 보시면 좋을듯 하며사이렌 오더의 경우 대한민국 인구의 5분의 1이 사용하고 있고, 패스오더는 최근 Series b 라운드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그리고 폭 넓은 정보를 제공하는 네이버 스마트 플레이스 서비스가 있습니다.내부 의견을 요약하자면현 잠재 마켓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틈새 또한 존재하고 현재 검증 단계에서 팀원들이 모두 공감하며 얼라인 되어있는 상황입니다.● 궁극적인 목표는?독립카페들의 잠재력 있는 크리에이티브 시장을 더욱 유저가 쉽게 받아들일수 있는 환경으로 구축하여더욱 크리에이티브 시장을 활성화 시켜 한국을 글로벌 트렌드 중심축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지금의 한국 카페시장 인지도도 글로벌 테스트베드 마켓으로 인식 받고 있습니다.)● 대략적인 마일스톤은?저희 팀의 마일스톤을 짜는것은 탑다운 방식과 바텀업 방식을 혼용하는 방식을 선호합니다.1) 가설 검증이 된다면 미래적으로도 시장 자체에 변화를 만들어낼 정도로 매력적인가? 의 미래 그림이 기대 되는가 부분2) 이게 실제로 시장에서 필요한 것인가?3) 지금 당장 할수있는 부분이 무엇들이 있는가?에 대한 부분이 만족 되어야 마일스톤을 설계 하는것을 선호합니다.이를 통해 현재의 마일스톤을 말씀 드리겠습니다.요약 하자면 올해 하반기에 모은 지표를 바탕으로 법인 설립및 펀드레이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현재 Pre mvp 바탕으로 투자자들의 피드백을 받은 상태로pre mvp 지표 , 그리고 서비스 제공 당시 받은 고객 피드백 바탕으로post mvp 를 구축하여 자체 ux ui 내에서 현금흐름을 수백건 만드는것 이 올해 하반기 목표입니다.● 현 모집 팀원은?현재 팀원 구성은ux ui 디자이너 , PM , 프론트엔드 개발자, 로 구성되어 있으며현재 모집은 백엔드 개발자 님을 우선순위로 모집 하고 있습니다.단기적 관점에서유저가 원하는 데이터를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선정, 웹 데이터 관리 부터 시작 하여장기적 관점에서아키텍트 부문 AI, SLLM, 백터데이터 , 시맨틱 서치 등 팀의 미래적 자산을 목표로 하고 있는 핵심 부문의 다양한 부분을 다뤄볼수 있을것입니다.2. 회의 진행/모임 방식- 현재 팀원들간에는 화목금토 시간이 겹쳐 보통 평일은 저녁시간때 토요일은 자율적으로 회의를 하는 편이며주 1회 정도 회의 및 모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온라인은 주로 구글 미트를 사용하며, 슬랙, 노션 카카오톡 단톡방 을 활용합니다.오프라인은 사당, 충무로 등 위치에서 만나고 있으며 독립카페를 다닐 겸사 겸사 위치를 잡고 있습니다.여건이 개선되면 아지트 하나 팔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3. 그외 1) 현 팀은 창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트랙은 가볍게 사이드 프로젝트로 시작해도 좋고이후 법인설립 이전에 정식 스타트업 팀으로 합류 하고 싶다. 하시면 캡테이블을 제공해 드릴수 있으며.원하시는 개인 목표에 맞춰 같이 성장목표 및 캡테이블을 맞춰 보는 작업을 진행 할 예정입니다.이는 현 팀원 모두 개인 목표에 따라 얼라인 되어 있습니다.11월 프라이머 배치 프로그램 참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2) 고객이 진정 원하는 포인트를 주도적으로 캐치해 나가며 적극적인 분석, 변화에 자신있는 사람이 좋습니다.제품 개발 → 포트폴리오 끝 이 아니라완벽한 제품이 아닌 작은 수준의 제품의 배포 → 피드백 → 개선이를 반복할 예정입니다.그래서 주도적으로 유저를 관찰하고 변화를 선호하는 분이 좋으며 이를 감안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