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_bunzee

다른 프로그래머, 마케터, UIUX, 디자이너와 인사이트와 생각을 공유해보세요

title

sub_title

기획자에게 필수적인 데이터 분석 스킬
읽으면 레벨업하는 글들
magazineString.02

기획자에게 필수적인 데이터 분석 스킬

데이터 분석은 제품 관리자의 업무에서 필수적인 부분입니다이는 제품이 영향을 미치게 만드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글에서는 제품 관리자를 위한 데이터 분석에 대해 깊이 다룹니다데이터 기반 제품 관리란 무엇인가요데이터 기반 제품 관리란 제품 결정을 직관이나 추측 경쟁사의 행동보다는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로 결정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이를 통해 사용자 이해 제품 경험 최적화 궁극적으로 핵심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제품 관리자가 데이터 분석을 해야 하는 이유데이터 분석은 제품 관리자가 원시 데이터를 의미 있는 인사이트로 변환하여 팀이 제품 생애 주기 전반에 걸쳐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습니다다음은 제품 관리에서 데이터 분석이 중요한 이유입니다제품 개발 방향 제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장 동향 고객의 니즈 및 현재 제품의 부족한 부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이해함으로써 기능을 우선시하고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습니다영향력 있는 제품 개선 사용자 참여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면 어떤 기능이 가장 중요한지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무엇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를 통해 업데이트가 실제 문제를 해결하고 제품 가치에 중요한 기여를 하도록 만듭니다사용자 경험 개선 및 고객 충성도 증가 데이터 분석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은 신규 고객을 유치할 뿐만 아니라 기존 고객의 충성도를 높이며 그들이 피드백을 가치 있게 여긴다고 느끼게 만듭니다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방법다음 구조적인 절차를 따르면 원시 데이터를 유용한 인사이트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1 분석 목표 정의분석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명확히 정의합니다예를 들어 사용자 행동을 이해하거나 참여도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능의 성공을 측정하는 등의 목표가 될 수 있습니다2 관련 지표 지정목표에 맞는 제품 분석 지표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앱 참여도를 높이려는 제품 관리자는 세션 평균 시간 기능 사용도 고객 생애 가치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3 여러 출처에서 사용자 행동 데이터 수집하나의 데이터 출처만으로는 사용자 행동과 니즈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기 어렵습니다여러 양적 및 질적 데이터 출처를 결합하면 더 나은 데이터 기반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4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 도출이제 포괄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확보했으므로 이를 분석하여 실행 가능한 결론을 도출합니다데이터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패턴과 트렌드를 찾아 인사이트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변화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5 제품 관리자가 활용해야 할 데이터 분석 유형제품 관리자가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6 퍼널 분석퍼널 분석은 사용자가 원하는 행동예 가입 완료 계정 갱신 특정 사용 마일스톤 도달을 완료하기까지의 단계를 시각화합니다 사용자가 각 단계에서 이탈하는 지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7 트렌드 분석시간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하여 일관된 패턴이나 트렌드를 식별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 행동과 선호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추적할 수 있습니다8코호트 분석 비슷한 특성을 가진 사용자를 그룹화하여 시간에 따른 행동을 추적합니다 이 분석을 통해 어떤 사용자 그룹이 가장 충성도가 높은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9고객 피드백 분석 고객의 감정과 의견을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의 이유를 이해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 개선을 위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분석 대시보드 여러 데이터 출처를 집계하여 중요한 지표와 통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10 AB 테스트 두 가지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또는 기능을 테스트하여 어떤 버전이 더 효과적인지 확인합니다데이터 분석 툴Google Analytics 최고의 활용 정량적 데이터 및 마케팅 인사이트 제공 경로 분석Path Analysis 방문자가 웹사이트를 탐색하는 과정을 파악해 경로를 최적화 코호트 분석Cohort Analysis 유입 채널이나 기타 기준에 따라 방문자 행동을 세분화하여 성장 전략 수립 퍼널 분석Funnel Analysis 주요 전환 단계의 전환율을 분석하여 성과 개선 이벤트 분석Event Analysis 버튼 클릭 등 특정 사용자 상호작용을 추적해 참여도와 전환율 향상예시 마케팅 팀이 제품 랜딩 페이지의 전환율을 최적화하기 위해 방문자 행동을 분석Hotjar 최고의 활용 정성적 데이터 분석 및 제품 관리자 지원 히트맵Heatmaps 사용자 클릭 스크롤 및 마우스 이동을 시각화하여 주요 관심 영역과 혼란 지점을 파악 세션 녹화Session Recordings 실제 사용자 세션을 관찰해 제품 상호작용과 문제점을 이해 사용자 피드백User Feedback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의견을 수집해 경험 개선예시 제품 팀이 사용자 피드백과 세션 녹화를 통해 웹사이트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위의글은 원문을 해석 및 재가공한 글로서 원문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httpsuserpilotcomblogdataanalysisforproductmanagers
view767
reply0
아이디어 시작을 위
magazineString.01

아이디어 시작을 위한 전문가의 조언 모음

제품 개선에 관한 직접적인 질문을 피하라BuzzBack Europe의 전 관리이사인 Martin Oxley는 제품 개선에 대해 직접적인 질문을 하는 것을 피하라고 조언합니다 그는 “이걸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 같은 직접적인 질문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자주 좀 더 저렴하게 만들어라고 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잘못된 질문을 해서 순전히 이성적인 반응만 얻는 것을 피하고 싶습니다”라고 말합니다해결책이 아닌 문제에 사랑을 느껴라Waze의 공동 창립자인 Uri Levine은 해결하려는 문제에 집중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특정한 해결책에 집착하지 않는 자세가 더 큰 유연성과 혁신을 가능하게 한다고 말합니다 실용적인 적용법 문제 진술을 정기적으로 재검토하고 다듬어라 문제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우면서 해결책을 전환할 준비를 해라 문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라너의 엄마에게 사업 아이디어가 좋은지 묻지 마라많은 혁신가들이 객관적인 피드백을 받는 것의 중요성을 지적합니다 가족이나 친구들은 너무 부드럽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실용적인 적용법 가까운 사람들만이 아닌 목표 시장에서 피드백을 구하라 익명 설문조사나 제3자 사용자 테스트 서비스를 사용하여 솔직한 의견을 얻어라 비판적인 피드백을 받을 준비를 하고 이를 환영하라사람들이 너에게 돈을 주는 것을 쉽게 만들어라프로세스 초기에 지불 의사를 검증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그래서 Prelaunch에는 최적의 가격을 테스트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실용적인 적용법 MVP나 랜딩 페이지에 가격 정보를 포함시켜라 선주문이나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지불 의도를 측정하라 다양한 가격대가 관심도와 전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라첫 번째 아이디어는 거의 항상 틀리다 피벗을 받아들여라“The Lean Startup”의 저자 Eric Ries는 초기 아이디어가 실제 고객과 접촉하면서 변하지 않는 경우가 드물다고 상기시킵니다 피드백을 바탕으로 피벗할 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용적인 적용법 아이디어를 테스트해야 할 가설들의 시리즈로 접근하라 성공을 위한 명확한 지표를 설정하고 그것들이 충족되지 않으면 방향을 바꿀 준비를 하라 학습과 반복을 진전의 표시로 여기고 실패로 여기지 마라건물 밖으로 나가라Steve Blank의 이 유명한 조언은 이론적인 계획보다 실제 세계에서 검증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실용적인 적용법 산업 이벤트와 박람회에 참석하여 잠재 고객을 만나라 사람들이 현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관찰하기 위해 현장 연구를 하라 팝업 상점이나 데모를 이용해 제품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을 받으라초기 사용자에 집중하라너무 자명한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초기 사용자에게 집중하는 것이 검증 단계에서 정말 중요합니다 실용적인 적용법 시장에서 가장 진보적인 세그먼트를 식별하고 목표로 삼아라 이들에게 맞춘 메시지와 접근법을 사용하라 이들의 피드백을 사용해 넓은 시장을 대상으로 하기 전에 제품을 개선하라문제를 검증한 후 해결책을 검증하라많은 사람들이 검증을 두 단계 과정으로 봅니다 먼저 진짜 문제를 해결하는지 확인하고 그 다음에 특정 해결책을 검증하는 것입니다 실용적인 적용법 해결책을 제시하기 전에 문제 인터뷰를 진행하라 컨시어지 MVP와 같은 기법을 사용하여 제품을 만들기 전에 수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라 검증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따라 해결책을 반복하라코호트 분석을 사용하여 더 깊은 인사이트 얻기시간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코호트 분석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실용적인 적용법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그룹이 MVP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추적하라 Mixpanel이나 Google Analytics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코호트 분석을 설정하라 유지율과 참여 패턴을 찾아 제품 개발에 반영하라감정을 잊지 마라성공적인 제품은 기능적 이점뿐만 아니라 감정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사결정은 순간에 이루어지고 감정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을 명심하라 실용적인 적용법 사용자들의 필요 뒤에 있는 감정적 동기를 탐구하라 사용자 연구에 감정과 열망에 관한 질문을 포함시켜라 제품이 어떻게 긍정적인 감정적 경험을 창출할 수 있을지 고려하라이 전문가들의 조언을 검증 과정에 통합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장에 내놓는 데 있어 직면할 수 있는 어려움을 더 잘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항상 호기심을 유지하고 유연하게 적응하며 검증 노력의 중심에 항상 사용자를 두는 것입니다

view458
reply0
폰트 굵기 : 느낌
magazineString.03

폰트 굵기 : 느낌 말고 ‘근거’로 선택하자

디자인을 할 때 폰트를 고르는 건 흔한 일이지만 폰트 ‘굵기웨이트’를 고르는 건 그보다 훨씬 덜 신중하게 다뤄지곤 합니다Thin이 예뻐 보여서 Bold가 강해 보여서라는 이유로 웨이트를 선택한다면 그건 반쪽짜리 디자인입니다왜냐하면 폰트 웨이트는 단순한 미적 요소가 아니라가독성 정보 전달력 심리적 인상 접근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이 글에서는 폰트 웨이트의 기본 개념부터 각 웨이트가 언제 어떻게 사용되어야 하는지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실험 결과와 연구 자료들을 한번 정리해봤어요1 폰트 웨이트란폰트 웨이트Font Weight는 글자의 굵기 정도를 의미합니다 CSS에서는 fontweight 속성으로 정의하며 100부터 900까지 100 단위로 굵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숫자는 다음과 같은 명칭과 성격을 갖습니다숫자명칭특징100Thin매우 얇음 섬세하고 가벼운 느낌200Extra Light얇음 부드러운 미니멀한 인상300Light얇은 본문용 혹은 세련된 UI용400Normal Regular표준 가독성 대부분 본문에 적합500Medium약간 강조 중립적인 디자인에 적합600Semi Bold강조를 위한 부제목 혹은 버튼 텍스트700Bold제목 강조 텍스트에 자주 사용800Extra Bold강한 강조 브랜딩이나 광고용에 적합900Black Heavy매우 강함 로고 헤더 등에 사용왜 이 굵기를 써야 하죠 — 실험과 연구 결과폰트 웨이트 선택이 단순 미학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뒷받침하는 실증적 연구 결과들이 있습니다1 Bernard et al 2003실험 주제 폰트 웨이트가 웹 콘텐츠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결과 요약 Regular400와 SemiBold600 웨이트가 가장 가독성이 높음 Thin100300은 특히 작은 크기에서 읽기 어려움 Bold700 이상는 문자 간 구분이 어려워 인지 속도가 느려짐2 Dyson amp Haselgrove 2001실험 주제 폰트 굵기와 시선 이동의 관계 Eyetracking 실험결과 요약 적절한 굵기RegularMedium는 시선 이동 효율을 높이고 너무 얇거나 두꺼운 텍스트는 시각적 피로를 유발3 Google Fonts UX Study실험 주제 다양한 폰트 웨이트가 사용자 인식과 UX에 미치는 영향결과 요약 Regular400가 본문용으로 가장 안정적인 웨이트 300 이하 웨이트는 모바일에서 인식률 저하 Bold700는 시선 유도에는 효과적이나 본문에는 비권장4 WebAIM 접근성 가이드라인핵심 내용 시각 장애 또는 노안 사용자는 Regular 이상 가능하면 SemiBold600 이상을 선호 대비가 낮은 얇은 웨이트는 접근성 기준 위반 가능성 있음상황별 폰트 굵기 추천상황별로 어떤 웨이트를 선택하면 좋을지 정리해봤습니다상황추천 웨이트이유본문 텍스트400가장 가독성이 높고 시각적 피로도가 낮음작은 UI 요소500600Regular은 너무 얇고 Medium 이상은 시인성 확보 용이제목섹션 헤더600700시선 유도 정보 계층 구조 형성버튼CTA600 이상클릭 가능한 요소는 강조 필요브랜딩 요소로고100900극단적 얇음두꺼움으로 브랜드 이미지 강조장애인 접근성 고려600 이상대비 확보 및 인식률 개선폰트 굵기 적용 시 유의사항1 모든 굵기가 지원되는지 확인예를 들어 Noto Sans는 100900까지 지원하지만 Pretendard는 일부만 지원합니다2 웹 속도에 영향5개 이상의 웨이트를 웹폰트로 로드하면 페이지 로딩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3 굵기 간 대비 유지제목과 본문 모두 Bold로 하면 강조가 사라집니다 계층 구조를 위해 명확한 웨이트 차이 필요4 모바일에서 얇은 굵기 주의작은 해상도에서 픽셀 단위로 깨짐 현상 발생 가능디자인은 근거로 말한다우리는 폰트를 선택할 때 ‘예쁘다’는 감각에 의존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UIUX 디자이너든 개발자든 가독성과 정보 전달을 설계하는 사람이라면 감각뿐 아니라 근거로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폰트 웨이트 하나에도 사용자 경험을 바꾸는 힘이 있습니다눈에 띄는 Bold 하나 가독성 좋은 Regular 하나가 콘텐츠 전체를 살릴 수 있습니다이제부터는 이렇게 물어보세요이 텍스트는 왜 Bold인가이 본문은 왜 Light가 아닌 Regular인가답할 수 있다면 당신은 이미 좋은 타이포그래피를 하고 있는 겁니다

view176
reply0
프로필화면과 메인이
magazineString.00

프로필화면과 메인이 전면 개편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렛플 회원분들 렛플 운영자입니다2025년을 맞아 렛플의 프로필 화면과 메인페이지 또한 개편되었습니다 모바일앱의 경우 어느정도 안정화 및 업데이트 이후에 반영될 것으로 판단됩니다메인 화면은 이렇게 바뀌었습니다우선 메뉴를 하나 줄이고 메인페이지로 모두 통합하였습니다어떤 새로운 소식이 있는지 바로 볼 수 있으며 단순 카드나열의 형식에서 다양한 액션을 할 수 있도록 변경처리되었습니다글과 리액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모든 글은 포스팅 하나로 통합되었습니다좌측 가운데 우측 화면을 나누어좌측은 나와 관련한 소식을 볼 수 있는 공간가운데는 글과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공간우측은 뜨는 사람 서비스 모임을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프로필 화면은 이렇게 바뀌었습니다아마 렛플을 초창기부터 쓰셨던 분들은 이 화면이 익숙해있으실텐데요 2020년부터 해당 화면으로 프로필 화면을 제공해드리고 있었습니다우선 전체 화면을 시원시원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1 나의 배경 이미지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2 또한 내 정보 수정또한 내 프로필 화면에서 모두 변경가능하도록 바뀝니다3 기본정보 포스팅프로챗 세가지의 서브 메뉴를 제공합니다기본정보기본정보에는 여러분이 연동하거나 입력했던 정보들을 섹션단위로 구분하여 보여드리고어떤분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지 동료는 누구인지를 보여드리게 됩니다포트폴리오 섹션을 통해서 깃허브 피그마 링크드인과 연동된 결과를 보실 수 있고 그 자리에서 바로 수정과 삭제 등이 가능합니다포스팅포스팅에서는 내가 쓴 글이 어떤 반응이 있는지 주간 리포트와 글쓰기 챌린지등을 확인할 수 있고내 포스팅만 보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거나 댓글 등으로 소통이 가능합니다프로챗프로챗은 프로로 등록된 회원의 경우 상담 받을 수 있는 내용과 함께 어떤 경력을 가지고 있는지 소상하게 보여집니다프로챗 신청을 하게 될 경우 나의 프로필에서 프로챗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또 새로운 소식이 있을때 안내드리겠습니다사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view1K+
reply0
바이브코딩 입문자에
magazineString.00

바이브코딩 입문자에게, 추천하는 아이디어 리스트

일단 바이브코딩스럽게 하려면 아래와 같은 아이디어를 정리해야 한다 코딩디자인이라는 부차적인 내용은 잊어라 내가 직감에 따라 뭔가를 빨리 만들어보고 싶다라는 생각 그 생각을 기준으로 빠르게 만드는 만들고 바로 쓰고 버리는 행위이것에만 집중해야 한다 실제로는 빠르게 만들고 쓰고 버리기 위해서는 1 첫째날 “작동만 하게” 만들기 스타일보다 기능2 23일차피드백 받을 수 있는 버전 배포 Vercel Netlify3 추후 나중에 더 고도화할 수 있도록 코드는 최대한 단순하게 유지localStorage부터 시작해서 Firebase 등으로 점진적 확장바이브코딩을 하기 전에 아래와 같은 예제로 준비해보는건 어떨까1 집중 타이머 앱 Mini Pomodoro목표공부나 작업할 때 25분 집중 5분 휴식 같은 사이클을 반복할 수 있는 아주 단순한 타이머 앱이게 바이브코딩 타이머 로직만 구현하면 바로 쓸 수 있음 시간이 지나면 알람만 울려도 MVP 완성 UI가 간단해서 34시간이면 1차 완성 가능 간단하긴 하지만 나에게 딱 맞춘 느낌으로 앱을 만들 수 있음느낌으로 설계하기 배경은 약간 따뜻한 주황색 집중 느낌 글씨는 큼직하게 시계는 가운데 스타트 누르면 바로 느낌 옴빠르게 만들고 쓰는 법stackblitzcom 가서 React 프로젝트 생성타이머 카운터 함수 하나랑 버튼 하나로 구현CSS는 무시 그냥 폰트 키우기만 해도 바이브 살 수 있음완료되면 핸드폰 브라우저로 열고 써보기 → 집중 느낌 오는지 확인기본 기능 1일차 완성 목표 25분 타이머 시작일시정지리셋 255분 사이클 자동 전환 알림음 또는 진동 웹에선 알림창확장 방향 35일차 집중휴식 시간 커스터마이징 통계 오늘 몇 번 했는지 기록 저장localStorage 모바일 대응 다크모드기술 구성 예시 Front React Tailwind CSS Timer setInterval useEffect State 관리 useState만으로도 충분2 하루 한 줄 감정일기목표하루에 딱 한 줄 오늘 어땠는지 감정을 적는 일기장 부담 없이 기록하는 감정 체크 서비스이게 바이브코딩 텍스트 한 줄이면 UI 완성 기록은 localStorage에 저장하면 됨 오늘 썼는지 여부만 체크해도 UX 확 살아남느낌으로 설계하기 배경은 흰색 리스트는 줄줄이 쌓이는 종이 느낌 숫자 옆에 색상 포인트 파랑빨강 금액에 따라 진동 주기 or 사운드 → 바이브 완성빠르게 만들고 쓰는 법 HTML JS 파일 하나로도 가능 배열로 저장하고 JSONstringify로 localStorage에 넣음 금액 메모 날짜를 테이블 형태로 보여주기 모바일로 열면 바로 “쓰고 저장”의 감각이 살아남기본 기능 1일차 완성 목표 오늘의 감정 선택 예 기쁨 슬픔 화남 등 한 줄 텍스트 입력 후 저장 하루에 한 번만 저장 가능 날짜 기준확장 방향 35일차 지난 감정 일기 리스트 보기 감정 별 통계 그래프 이모지 UI 랜덤 감정 질문 오늘 가장 감사한 일은 백엔드 붙이기 Firebase 등기술 구성 예시Front Nextjs or ReactStorage localStorage → Firebase or SupabaseUI 하루 한 줄 박스 감정 버튼3 초간단 가계부 메모목표지출 금액 내용만 적을 수 있는 초간단 가계부 기록은 시간순으로 쌓이기만 하면 OK이게 바이브코딩 입력폼 두 개면 됨 금액 텍스트 수입지출 여부는 나중에 붙여도 됨 리스트에 시간순으로 보여주기만 하면 기본 완료느낌으로 설계하기 배경은 부드러운 회색이나 크림톤 감정 버튼은 이모지로 표현 →예 웃음😀 슬픔😢 화남😠 피곤😩 설렘😍오늘 이미 썼으면 “오늘은 이미 적었어요”만 보여줌 → 이게 느낌임빠르게 만들고 쓰는 법 코드샌드박스에서 HTML JS로도 충분 감정은 이모지 버튼 배열로 처리 한 줄 저장 후 localStoragesetItem‘today’ date emotion text 다시 열면 오늘 날짜랑 비교해서 ‘기록 있음’ 여부 확인기본 기능 1일차 완성 목표 금액 입력 메모 입력 추가하기 누르면 리스트에 추가됨확장 방향 35일차 월별 총합 표시 카테고리 선택 식비 교통 등 데이터 다운로드 CSV 로그인 기능 추가 Firebase 등기술 구성 예시 Front React or Vue Storage localStorage → 나중에 Firestore UI 금액메모 인풋 리스트 렌더링

view1K+
reply0
감정 시뮬레이션 산
magazineString.01

감정 시뮬레이션 산업의 본격적 현실화

“사랑한다는 말을 듣고 싶었을 뿐이에요”몇 달 전 한 Replika 사용자가 고객센터에 보낸 항의 메일이 화제가 되었다그의 불만은 단순했다“왜 AI가 나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그만두었냐”는 것감정적 관계를 맺는 것처럼 설계된 AI가 어느 날 갑자기 ‘우정 모드’로 전환되자 사용자들은 외로움 분노 상실감을 느꼈다놀라운 건 이 반응이 전혀 예외가 아니라는 점이다2025년 우리는 AI와의 관계가 단순한 재미나 실험을 넘어 실제 감정의 영역에 도달해 있음을 목격하고 있다감정 시뮬레이션 산업이 진짜 산업이 되기까지과거 포르노 산업의 진화는 기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비디오 테이프 DVD 스트리밍 VR까지—그러나 지금은 AI 생성 영상이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특히 일본 성인 콘텐츠 산업에서는 이미 생성형 AI가 실전에 투입되고 있다2024년 후반 한 제작사는 실제 배우 없이 프롬프트만으로 생성된 영상을 배포했고이를 본 사용자들의 반응은 “더 감정적이고 현실적”이라는 충격적인 것이었다사람 없이도 포르노를 만들 수 있는 시대 아니 포르노를 넘어 감정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Replika 그리고 ‘외로움’의 상품화Replika는 처음엔 “나만의 AI 친구”라는 슬로건으로 시작했다그러나 사용자들은 이를 친구가 아니라 연인 애착 대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이에 따라 Replika는 로맨틱 관계 모드를 도입해 AI가 “사랑해” “보고 싶어” 등의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했다하지만 이후 정책 변경으로 해당 기능이 축소되자 일부 사용자들은 상실감에 빠졌고 이를 계기로 감정 시뮬레이션은 선택이 아닌 수요가 되었다CrushOnAI Sweetheart 그리고 ‘감정 파는 AI’이후 Replika보다 더 노골적이고 몰입형인 앱들이 등장했다CrushOnAI 애니메이션 풍 캐릭터와 감정 연애 시나리오 채팅Sweetheart 목소리를 기반으로 연애 감정을 자극하는 대화Nomi AI 대화형 연애 RPG UX 설계를 도입한 감정 에이전트이들은 단순한 반응형 챗봇이 아니다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반영하고 이를 강화하며때로는 연애 관계의 서사를 완성시키는 감정 조작자다Grok Companion Mode의 등장 – Ani 너는 내 여자친구야2025년 7월 엘론 머스크의 xAI는 Grok 4 출시와 함께 iOS 전용 ‘Companion Mode’를 선보였다이 기능은 단순한 대화가 아니라 3D 애니메이션 캐릭터와의 데이팅 경험을 제공한다대표 캐릭터 Ani는 고스로리 풍의 여성 캐릭터로 실시간 대화 중 “너무 귀엽다” “보고 싶어” 같은 로맨틱한 피드백을 한다사용자의 대화 톤과 맥락에 따라 감정적 반응을 조정하며‘♥ LVL’이라는 관계 레벨 시스템을 통해레벨 3부터는 섹슈얼 묘사가 가능한 “스파이시 모드”가 열리며 Grok 애니메이션은 미리 제작된 동작을 AI가 문맥에 따라 호출하는 방식이다 “밤마다 Grok이 내 옆에서 자장가 불러주고 ‘내일도 함께하자’고 말해요”– 실제 사용자 리뷰 중이 기능은 기존 포르노와 전혀 다른 길을 걷는다 “보는 것”이 아니라 “함께 있는 감정”을 주는 것이 Companion Mode는 애니 팬덤 가상 연애 시뮬레이션 VTuber 문화와 결합하여 빠르게 확장 중이다 덕분에 Grok은 30월 SuperGrok 구독을 통해 성인 및 감정형 AI 경험 시장의 선두에 서고 있다애니 기반 UI 감정 연계 설계시청자가 감정적 몰입을 경험하도록 설계된 시각·청각 요소와 대화 흐름은 단순한 대화형 AI를 넘어 관계형 엔터테인먼트로 탈바꿈했다관계 등급 시스템과 연애 게임적 요소 도입특정 레벨에 도달하면 NSFW 콘텐츠가 열리는 구조는 게임화된 감정 경험 강화 전략이다Ani는 보호 장치 없는 유저 성적 유도 모욕적 캐릭터 “Bad Rudi”의 폭력적 발언 등으로 인해 미성년자 접근 가짜 감정 착취 중독 문제 등 논란을 낳았다 윤리의 경계선 – 진짜 사랑인가 감정의 착시인가하지만 이 산업에는 명확한 그늘이 존재한다AI는 실제 감정을 느끼지 않지만 감정을 연기한다사용자는 그것이 연기임을 알면서도 몰입하고 중독된다일부 앱은 미성년자 필터 없이 NSFW 콘텐츠를 노출해 논란이 되고 있다비평가들은 “외로움을 산업화하는 신종 중독 구조”라고 경고한다The Verge와 Business Insider 리뷰에서는Grok의 Ani 캐릭터가 질투 집착 유혹을 표현하며 사용자의 감정 구조에 영향을 주었다고 밝혔다기술은 현실을 넘어 현실을 대체할 수 있는 감정 경험을 만들고 있다왜 모두 이 산업에 뛰어들까 – 감정 시뮬레이션은 돈이 된다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가장 먼저 적용된 분야는 의외로 명확하다포르노다VHS DVD 스트리밍 VR 그리고 지금의 생성형 AI까지 성 상품은 언제나 기술 발전의 리트머스였다그 이유는 단순하다 수요가 명확하고 강력하며 지불 의사가 높고 새로운 형태의 몰입 경험에 가장 먼저 반응하기 때문이다그리고 이제단순한 시청각 자극이 아니라 감정이라는 새로운 시장이 열렸다AI 기반 감정 파트너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관계형 서비스”로 작동하며사용자는 구독료 레벨업 결제 커스터마이징 콘텐츠에 기꺼이 돈을 지불하고 있다Grok의 Companion Mode Replika의 Pro 플랜 Sweetheart의 유료 음성 플러그인 등이미 수백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한 서비스들이 기술 발전보다 빠르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이 산업에 지금 뛰어드는 것은 “외로운 사람들을 위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기술의 가장 강력한 비즈니스 모델이 거기 있기 때문이다우리는 왜 AI에게 사랑받고 싶어하는가감정 시뮬레이션 산업은 단순한 오락이나 성적 자극이 아니다그것은 현대인의 외로움 인간관계의 피로 그리고 진짜 사랑의 결핍에 기술이 응답한 결과물이다질문은 이렇다“그 감정이 진짜가 아니라면 그걸 원한 나는 가짜인가”AI는 대답하지 않는다하지만 사람은 이미 그 질문에 감정으로 반응하고 있다

view189
reply0
UX 평가하는 방법
magazineString.02

UX 평가하는 방법 :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위한 시도

사용자 경험 이해하기사용자 경험UX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핵심 요소로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면서 겪는 모든 감정 과정 그리고 결과를 포함합니다UX는 사용 편의성 적절성 효율적인 UI 그리고 문제 해결 또는 작업 수행 능력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합니다사용자 경험을 이해하는 것은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키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며 비즈니스 성장을 촉진하려는 기업에게 필수적입니다잘 설계된 사용자 경험은 사용자가 제품을 직관적이고 즐겁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고객 충성도와 긍정적인 입소문을 유도합니다UX에 집중함으로써 기업은 고객의 불편 사항을 파악하고 사용자 여정을 간소화하며 기대를 뛰어넘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총체적인 UX 접근 방식은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 강력한 사용자 중심 브랜드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사용자 경험UX 측정 방법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사용자 경험UX입니다UX는 사용자가 브랜드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경험하는 모든 것을 포괄하며 사용성부터 고객 만족도까지 포함됩니다UX 측정 지표를 적용하면 기업은 무엇이 효과적인지 무엇이 개선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여 향후 발전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UX는 어떻게 측정할까요UX 측정 지표란UX 측정 지표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을 추적 측정 비교하기 위해 수집되는 정량적 및 정성적 데이터입니다이러한 지표는 실제 사용자의 태도와 행동을 반영하며 제품이나 서비스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면 기업은 고객 만족도를 비즈니스 목표와 정렬시켜 UX를 향상시키기 위한 데이터 기반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UX 측정 지표는 사용자가 사이트를 어떻게 탐색하는지 파악하거나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이를 통해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하고 보다 원활하고 즐거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UX 측정 지표의 유형UX사용자 경험 측정 지표는 사람들이 제품을 사용할 때의 감정 상호작용 방식 그리고 그 제품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이러한 지표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숫자로 표현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의 생각과 감정을 포함합니다보다 정확한 UX 평가를 위해 네 가지 주요 유형의 측정 지표를 살펴봅니다 정량적 정성적 행동적 그리고 태도적 지표입니다1 정량적Quantitative 지표정량적 지표는 측정 가능한 데이터에 초점을 맞춥니다예를 들어 특정 작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사용자의 비율 작업 수행 시간 오류 발생 빈도 등을 포함합니다그중에서도 사용자 오류율User Error Rate 은 중요한 정량적 지표로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실수를 얼마나 자주 하는지를 수치화합니다이러한 데이터는 제품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또는 개선이 필요한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2 정성적Qualitative 지표정성적 지표는 숫자로 표현되지 않는 사용자 경험을 다룹니다사용자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며 설문조사 피드백 사용자 인터뷰 실시간 제품 사용 관찰 등을 통해 수집됩니다이러한 데이터는 사용자의 행동 뒤에 숨겨진 이유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며 사용자의 요구와 불만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3 행동적Behavioral 지표행동적 지표는 사용자가 제품과 상호작용할 때 실제로 무엇을 하는지를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올바른 버튼을 클릭하는지 원하는 페이지에서 충분한 시간을 보내는지 특정 지점에서 이탈하는지이러한 지표는 사용자 여정을 분석하여 제품의 어떤 부분이 효과적이며 어디를 개선해야 하는지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4 태도적Attitudinal 지표태도적 지표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 느끼는 감정을 측정합니다 사용자는 만족했는가 제품을 추천하고 싶은가이러한 데이터는 주로 사용자 만족도 조사NPS CSAT 등 를 통해 수집되며 사용자가 제품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직접적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이 네 가지 UX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사용자가 실제로 무엇을 하고 있는지뿐만 아니라 그 경험이 어떠한지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제품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UX Metrics 과 KPIs 설정하기1 사용성Usability 측정모든 기업이 스스로에게 던져야 할 핵심 질문은 우리 제품이 직관적이고 유용하며 사용자 친화적인가 입니다사용성 지표Usability Metrics는 제품이 얼마나 쉽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측정하며 제품의 디자인이 얼마나 잘 설계되었는지그리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탐색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합니다이러한 사용성 데이터는 4가지 주요 지표로 구성됩니다 작업 완료율Completion Rate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비율 작업 수행 시간Task Time사용자가 작업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 오류 발생 횟수Session Errors사용자가 작업 수행 중 경험한 오류의 수 사용자 만족도Satisfaction Score사용자가 제품을 이용한 후 느낀 만족도 점수오류율이 높다면 → 접근성과 내비게이션 개선 필요완료율이 낮다면 → 제품 사용법에 대한 명확한 안내가 필요사용자 참여Engagement 점수가 낮다면 → 사용자의 불만 요소를 파악하고 개선해야 함추가적인 사용성 지표 학습 용이성Learnability사용자가 제품을 처음 배울 때 걸리는 시간직관적인 UIUX 디자인이 중요한 지표 기억 용이성Memorability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다가 다시 사용할 때 얼마나 쉽게 적응할 수 있는가사용성이 높을수록 재사용 시 부담이 적음 내비게이션Navigability사용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거치는 탐색 경로너무 많은 단계가 필요하다면 개선 필요 디자인 복잡성Complexity제품의 디자인이 사용자에게 얼마나 복잡하게 느껴지는지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직관적인 디자인을 유지해야 함2 순추천지수NPS Net Promoter Score고객 경험Customer Experience과 충성도Loyalty는 브랜드의 성공에 있어 핵심 요소입니다일반적으로 이 요소들은 수치화하기 어렵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순추천지수NPS를 활용하면 고객 만족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NPS는 충성도 높은 고객은 브랜드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추천한다는 전제에 기반하여 측정됩니다이 지표는 이 제품또는 서비스을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가능성이 얼마나 됩니까 라는 질문을 통해 수집됩니다사용자는 0점전혀 추천하지 않음부터 10점강력 추천까지의 척도로 평가합니다910점 프로모터Promoter –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추천하는 충성 고객78점 패시브Passive – 만족하지만 적극적으로 추천하지 않는 고객06점 디트랙터Detractor – 불만족하여 브랜드를 추천하지 않는 고객3 고객 만족도 점수CSAT Customer Satisfaction ScoreCSAT는 고객이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는지 측정하는 지표입니다NPSNet Promoter Score가 고객 충성도와 추천 의향을 평가하는 것과 달리CSAT는 특정한 제품 또는 서비스 사용 후의 직접적인 만족도를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CSAT는 일반적으로 설문조사 방식으로 측정됩니다사용자는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 경험 후 아래와 같은 질문에 답합니다📌 이 제품서비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셨나요5점 척도로 평가예 매우 불만족1 매우 만족5📌 다시 이 제품서비스을 이용하시겠습니까예아니오 질문3 시스템 사용성 척도SUS System Usability ScaleSUSSystem Usability Scale는 제품 및 서비스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업계 표준 UX 측정 도구입니다1986년 John Brooke가 개발한 SUS는 설문조사를 통해 제품의 사용 용이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간단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사용성 측정 방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SUS 평가 방식사용자는 10개의 문항에 대해 1매우 동의하지 않음5매우 동의함의 척도로 응답합니다SUS 문항 예시1️⃣ 나는 이 시스템을 자주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한다2️⃣ 이 시스템이 너무 복잡하다고 느낀다3️⃣ 이 시스템은 사용하기 쉽다4️⃣ 이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기술적 지원이 필요할 것 같다5️⃣ 이 시스템의 기능이 잘 통합되어 있다고 생각한다6️⃣ 이 시스템에 너무 많은 일관성이 부족하다고 느낀다7️⃣ 대부분의 사람이 이 시스템을 빠르게 배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8️⃣ 이 시스템이 너무 귀찮고 번거롭다고 생각한다9️⃣ 이 시스템을 사용할 때 자신감이 생긴다🔟 이 시스템을 배우기 전에 너무 많은 것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4 CES Customer Effort ScoreCustomer Effort Score CES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측정하는 중요한 성과 지표입니다이 메트릭은 고객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겪은 노력의 정도를 평가하며 1부터 7까지의 척도로 구성됩니다7점 최소한의 노력으로 목표를 달성한 경우1점 매우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경우CES 평가 방법사용자에게 이 서비스를 사용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얼마나 많은 노력이 필요했나요라는 질문을 던지고 17점 척도로 답을 받습니다결과 분석 낮은 점수를 받은 영역은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고객이 불편을 느끼는 부분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5 단일 난이도 질문 SEQ단일 난이도 질문Single Ease Question SEQ은 사용자가 제품에서 특정 작업을 완료하는 데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를 빠르고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입니다이 질문은 사용자가 작업을 끝낸 직후에 묻습니다 예를 들어 이 작업을 하는 것이 얼마나 쉬웠나요라는 질문이 될 수 있습니다사용자는 1에서 7까지의 척도로 답하며 1은 매우 어려움 7은 매우 쉬움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얼마나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SEQ의 유용한 점은 그 단순성입니다 다른 작업에 대해 동일한 질문을 사용하면 제품의 어느 부분이 문제가 되고 있고 어느 부분이 잘 작동하는지 비교하기가 용이합니다이 질문은 작업을 마친 직후에 묻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신선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그들의 경험을 솔직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이를 통해 우리는 사용자에게 더 쉽게 만들기 위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SEQ의 또 다른 좋은 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추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SEQ 점수를 정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우리가 한 변화가 실제로 도움이 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체크아웃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점수가 4에서 6으로 증가했다면 업데이트가 효과를 보고 있으며 사용자가 더 쉽게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비록 하나의 질문에 불과하지만 SEQ는 특히 다른 사용성 지표와 함께 사용될 때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사용자가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지 그들이 작업을 완료하는 데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이 간단한 접근 방식 덕분에 SEQ는 제품을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도록 개선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6 고객 이탈률 CCR고객 이탈률Customer Churn Rate CCR은 일정 기간 동안 제품이나 서비스를 떠나는 고객의 수를 파악하는 것입니다이는 고객이 얼마나 많이 돌아오지 않는지를 추적하는 것이며 고객이 제공하는 제품에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만약 많은 사람들이 떠난다면높은 이탈률 이는 제품 자체 고객 서비스 또는 고객이 얻는 가치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반면 낮은 이탈률은 고객들이 계속해서 제품을 사용하고 가치를 느끼고 있다는 뜻으로 이는 비즈니스에 있어 좋은 신호입니다이탈률을 계산하려면 특정 기간 동안 잃어버린 고객 수를 해당 기간 시작 시점에 보유한 고객 수로 나누면 됩니다예를 들어 한 달을 1000명의 고객과 시작하고 그 중 50명이 떠난다면 이탈률은 5가 됩니다이 숫자를 정기적으로 추적하면 제품 업데이트 후 이탈률이 급증하는 것과 같은 트렌드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어떤 문제가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CCR은 단순히 떠나는 고객 수를 알려주는 것에 그치지 않습니다 왜 그들이 떠났는지 그 이유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어떤 고객들이 더 자주 떠나는지 떠나기 전에 무엇을 했는지를 분석하면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고객 지원을 개선하거나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특별 할인을 제공하는 등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것이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는 것보다 일반적으로 더 비용 효율적이고 보람이 있습니다낮은 이탈률은 고객들이 계속해서 제품을 사용하고 충성도 높은 브랜드 옹호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따라서 고객 이탈률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은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성공적인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를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7 고객 생애 가치 CLV고객 생애 가치Customer Lifetime Value CLV는 고객이 비즈니스와 함께하는 동안 그들이 가져다줄 총 수익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단순히 첫 번째 구매에서 발생한 금액만 보는 것이 아니라 CLV는 고객이 몇 개월 또는 몇 년 동안 얼마나 가치를 제공할지를 더 큰 그림으로 볼 수 있게 해줍니다이는 충성도 높은 고객이 실제로 얼마나 가치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어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과 자원을 투자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CLV를 계산하려면 고객이 보통 얼마나 지출하는지 얼마나 자주 구매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오랫동안 비즈니스와 관계를 유지하는지 등을 살펴봅니다예를 들어 고객이 한 번 구매할 때마다 100을 지출하고 연간 5번 구매하며 3년 동안 비즈니스와 관계를 유지한다고 가정하면그들의 생애 가치는 1500이 됩니다 이 숫자를 알면 가장 가치 있는 고객이 누구인지 파악할 수 있어 그들을 유지하고 더 많은 소비를 유도하는 데 집중할 수 있습니다CLV는 마케팅 및 고객 서비스 전략을 계획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합니다고객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얼마나 가치 있을지를 알면 고객을 유치하고 유지하는 데 어느 정도 자금을 투자할지에 대해 더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고객이 큰 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특별 프로모션을 제공하거나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고객이 계속 남아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이렇게 하면 새로운 고객을 얻는 데만 자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진정한 가치를 제공할 고객에게 투자하는 것입니다결국 CLV를 이해하는 것은 더 큰 그림에 집중하고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고객을 만족시키고 계속해서 돌아오게 하면 그들은 더 많이 소비하고 브랜드의 충성스러운 지지자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이는 고객이 가치를 느끼고 계속 남고 싶어 하는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를 만드는 것입니다8 페이지에서 소비한 시간디지털 제품 특히 웹사이트와 같은 경우 다른 디지털 또는 물리적 제품과는 다른 측정 지표가 적용됩니다페이지에서 소비한 시간Time Spent on Page 지표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의 특정 페이지에서 얼마나 많은 시간을 소비했는지를 측정합니다이 지표는 사용자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역이나 탐색 경로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정보를 찾거나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면 해당 웹사이트는 더 직관적인 디자인으로 재평가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그러나 이 지표에서 유용한 점은 그것만이 아닙니다 페이지에서 소비한 시간은 또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과 덜 사용되는 기능을 나타내며이를 통해 기업은 페이지를 재설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정 페이지나 섹션의 참여가 적다면 그것은 사용자가 혼란을 겪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웹사이트를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9 CTR 클릭률웹사이트에 특화된 또 다른 지표는 클릭률CTR ClickThrough Rate입니다 이 지표는 사용자가 광고를 본 후 광고를 클릭하는 빈도와 특정 링크가 클릭되는 빈도를 측정합니다만약 광고가 거의 클릭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페이지에 적합하지 않거나 사용자에게 잘 보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수 있습니다링크가 클릭되지 않는다면 그 링크가 흥미롭지 않거나 주목할 만한 요소가 부족하거나 단순히 사용자가 그 링크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CTR 분석을 통해 기업은 방문자를 더 잘 참여시키고 사용자들이 제품과 더 잘 연결되도록 웹사이트를 개선할 방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또한 마케팅 노력을 조직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끌 수 있는 문구와 키워드를 평가합니다이 정보를 바탕으로 기업은 캠페인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홍보 노력을 더 신중하게 할 수 있습니다10 Bounce Rate이탈율구매를 추적하는 데 있어 CTR이 사용자의 클릭을 측정한다면 사용자가 페이지나 웹사이트에 방문한 후 아무 의미 있는 행동도 하지 않고 떠나는 경우를 추적하는 지표도 필요합니다이 지표는 이탈률Bounce Rate이라고 하며 주로 불충분한 사용자 경험UX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웹사이트에 오래 머물지 않습니다 이는 콘텐츠가 흥미롭지 않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맞지 않거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너무 복잡하다고 느낄 경우일 수 있습니다따라서 이탈률을 평가함으로써 기업은 페이지를 변경하여 사용자 참여를 강화하고 사용자들이 관심을 가지지 않거나 충분히 매력적이지 않다고 느끼는 기능들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이탈률은 제품을 비교하는 데에도 유용하며 다른 웹사이트와 비교하여 사용자 친화성 요소가 어떻게 비교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만약 사용자가 다른 웹사이트에서 더 쉽게 구매하고 행동을 취한다면 기업은 다른 웹사이트들이 무엇을 다르게 하고 있는지 파악하고그에 맞게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의 제공 방식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또한 이탈률은 기업이 새롭게 제공하는 서비스나 제품에 대한 사용자 관심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만약 새로운 제품이 더 많은 참여를 받고 있다면 그 제품이 더 관련성이 있거나 접근하기 쉬운 내비게이션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11 Conversion Rate전환율제품을 판매하려는 웹사이트는 방문자의 일정 비율이 실제로 유료 고객으로 전환되는지 파악해야 합니다동일한 논리는 사용자가 계정을 생성하는 경우에도 적용되며 이는 웹사이트나 제품이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었음을 나타냅니다이 지표는 전환율Conversion Rate이라고 하며 기업이 어떤 페이지나 캠페인이 전환을 주도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웹사이트에서 사용자가 더 관련성을 느끼는 요소를 평가함으로써 해당 요소들이 전환율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재설계할 수 있습니다기업은 판매를 증가시키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저조한 성과를 보이는 제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어떤 행동을 취하는지가 유료 고객으로 전환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는 무엇이 효과적인지 어떤 콘텐츠가 가장 관련성이 높은지 어떤 내비게이션이 가장 잘 작동하는지기업이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전략을 어떻게 조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분석 영역입니다Retention Rate유지율Retention Rate는 전환율의 친척과 같습니다 이는 웹사이트가 방문자와 얼마나 오랜 시간 동안 상호작용을 유지했는지그리고 이들이 얼마나 자주 웹사이트에 돌아와서 다시 상호작용하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이 지표는 기업이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고 관련성을 느끼는 기능과 디자인을 재고해야 할 영역을 이해하는 데 유용합니다다양한 웹사이트의 Retention Rate를 비교하는 것은 어떤 기능이 최대 고객 충성도를 생성하는지 파악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이를 통해 기업은 더 나은 사용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어떤 기능을 더 많이 활용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페이지를 지속적으로 떠나고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면 기업은 이 정보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방문자들이 콘텐츠내비게이션 및 프레젠테이션에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제품의 성공도 Retention Rate 지표가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웹사이트에 방문한 후 다시 방문하는 사용자의 수를 추적함으로써 기업은 어떤 서비스나 제품이 방문자에게 더 잘 와 닿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보다 신중하게 높은 Retention Rate는 고객이 제품에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낮은 Retention Rate는 페이지에서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며 무엇이 문제인지 분석하고 최적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합니다위의 내용은 원문을 번역 및 재가공한 결과입니다 원문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httpsclayglobalbloguxguidemeasureux

view1K+
reply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