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프로젝트는 의료계 파업으로 인해 병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에게 병/의원의 진료 현황과 야간 및 주말 진료 정보, 나아가 약국의 영업 정보를 편리한 UI로 제공하여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시작됐습니다.
1) 단기/중기/장기 관점에서 주요 소비자의 특성이나 규모 및 니즈 분석
- 단기적으로는 현재 파업으로 진료 받기 어려운 환자가 주요 소비자로, 실시간 진료 정보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이며, 이들은 급여층의 넓은 연령대를 포함할 것입니다.
- 중기적으로는 파업 상황이 해결된 후에도 주말이나 야간 진료 정보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가 존재할 것이며, 바쁜 일상을 가진 직장인 또는 긴급한 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들이 주요 소비자가 될 것입니다.
- 장기적으로는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인해 일정하게 안정적인 소비자 규모를 유지할 수 있으며, 편리함과 접근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로 니즈가 확대될 것입니다.
2) 현재 시장성과 향후 3년간 시장 추세 및 그 이유, 그리고 예상 경쟁업체와 서비스에 대한 설명
- 현재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공 시장은 스마트 기기 보급률 증가와 더불어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COVID-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서비스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온라인 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 향후 3년간은 IT 기술 발전과 함께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서비스로 발전할 것이며, 이는 사용자의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 접근 요구 증가로 인한 것입니다.
- 경쟁업체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네이버와 카카오와 같은 대형 포털 사이트가 있으며, 이들은 이미 의료기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한 차별화 기능이나 전략
- 실시간 데이터 제공: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의료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 개인화 서비스: 사용자의 건강 상태, 위치, 과거 이용 기록 등을 분석하여 개인에게 맞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 커뮤니티 기반의 평가 시스템: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이용한 후기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마련하여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에 기여합니다.
4) 출시 플랫폼 우선순위 및 이유
- 모바일 앱을 우선시해야 합니다. 대다수의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정보를 접근하고 있으며, 특히 의료 정보 서비스는 이동 중 또는 응급 상황에서도 접근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 모바일 웹은 앱 다운로드가 부담스러운 사용자를 위해 또한 지원해야 합니다.
- PC 웹은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지만, 사무 환경에서 사용하는 이용자를 위해 지원해야 합니다.
5) 초기 시장 진입 전략
- 파트너십 개발: 현지 병/의원 및 약국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신뢰도 높은 정보를 확보합니다.
- 마케팅 캠페인: SNS, 온라인 광고, 인플루언서 협력 등을 통해 서비스 인지도를 높입니다.
- 판촉 행사: 서비스 초기 사용자를 위한 무료 서비스 이용 혜택 또는 할인 등으로 초기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춥니다.
6)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
- 지역 확장: 수도권 외 지방 도시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합니다.
- 추가 기능 개발: 예약 시스템, 개인 건강 관리 기능 등을 점진적으로 추가하여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확장합니다.
- 협력 네트워크 구축: 정부 기관, 보험 회사 등과의 협력을 통해 서비스의 안정성과 접근성을 극대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