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에서 시작해, 손쉽게 클라우드로 확장하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SA)를 만들자!”
전 세계적으로 서비스의 스케일업과 유연성이 필수가 된 시대, 하지만 MSA는 너무 복잡하고 비용도 부담스럽죠.
MSaaS(Microservice as a Service) 는 로컬 환경에서 마이크로 서비스를 간편하게 개발·운영하고,
이후 클릭 몇 번으로 클라우드로 이관할 수 있는 ‘올인원’ 솔루션 서비스를 꿈꿉니다.
MSA에는 어떤 문제가 있나요?
- 기존 모놀리식 구조에서 마이크로 서비스를 도입하려면, 인프라 세팅, 분산 트랜잭션 관리, CI/CD 파이프라인, 모니터링 등 복잡한 요소가 한꺼번에 늘어납니다.
게다가 초반부터 AWS, GCP 같은 클라우드를 풀로 쓰기엔 비용과 운영 부담이 큽니다.
작은 프로젝트에서 MSA는 관리가 어렵다는 이유로 종종 기피되곤 합니다. 하지만 이는 적절한 플랫폼 지원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MSaaS는 단순하고 효율적인 관리 도구로, 적은 노력으로도 MSA의 복잡성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무엇을 해결 하나요?
1. 로컬(또는 단일 서버)에서 MSA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템플릿과 UI 제공
2. 로컬 구성 그대로 클라우드(K8s) 로 간편하게 이전
3. 통합 대시보드 에서 서비스 상태, 로그, 배포, 모니터링까지 한눈에 관리
어떤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까요?
1. 관리되지 않는 서비스 엔드포인트와 API 명세
상황: 스타트업 C사는 마이크로서비스를 도입해 "사용자 관리", "결제 처리", "상품 관리" 등으로 기능을 분리했어요.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API 엔드포인트가 50개를 넘어섰고, 각 서비스의 명세와 의존성을 관리하기 어려워졌어요.
개발팀은 기존 문서와 코드에서 각각의 API 명세를 찾느라 많은 시간을 소모하고, 운영 팀은 서비스 간 연동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지 못해 장애가 자주 발생합니다.
MSaaS로 해결:
- MSaaS의 통합 대시보드에서 모든 마이크로서비스의 엔드포인트와 API 명세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 Swagger/OpenAPI 명세를 자동으로 대시보드에 통합해 서비스 간 의존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운영팀은 API 호출 상태와 오류를 빠르게 추적하고, 개발팀은 문제 해결 시간을 단축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독립적인 로컬 테스트 환경 구축의 어려움
상황: 중견 기업 D사의 개발팀은 마이크로서비스 도입 후, 테스트 환경 구성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주문 서비스"를 로컬에서 테스트하려면 "상품 서비스", "결제 서비스" 등 의존하는 모든 서비스를 함께 띄워야 해요.
이런 환경을 설정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고, 팀원마다 테스트 환경이 달라 협업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MSaaS로 해결:
- MSaaS는 Docker Compose 기반의 자동화된 테스트베드를 제공합니다.
- 개발자는 원하는 서비스(예: "주문 서비스")만 선택해 필요한 의존 서비스와 함께 로컬 환경에서 쉽게 구성할 수 있어요.
- Mock 데이터와 서비스 간 통신 설정도 자동화되어, 개발자는 핵심 로직 구현과 테스트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3. 도커 개발 환경에서 Kubernetes 배포로의 어려움
상황: 스타트업 E사는 초기에는 Docker Compose를 사용해 마이크로서비스를 개발했어요.
로컬 환경에서는 Docker로 잘 실행되지만, 프로덕션 단계에서 Kubernetes로 배포하려고 하니 YAML 매니페스트 작성, 네트워크 설정, ConfigMap 관리 등 새롭게 배워야 할 부분이 너무 많아졌어요.
개발팀은 쿠버네티스 배포 경험이 부족해, 실수로 인해 장애가 발생하거나 비효율적인 리소스 사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MSaaS로 해결:
- MSaaS는 Docker Compose 설정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Kubernetes 매니페스트(Deployment, Service, ConfigMap 등)를 생성해 줍니다.
- 개발팀은 기존 Docker 환경과 유사한 워크플로우를 유지하면서, 한 번의 설정으로 Kubernetes 클러스터로 쉽게 전환할 수 있어요.
- 통합 대시보드를 통해 각 서비스의 상태와 배포 이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필요 시 롤백이나 재배포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 결과적으로, Kubernetes 배포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학습 비용을 크게 줄이고, 안정적인 운영 환경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궁극적 목표가 있나요?
- 비즈니스 로직에 개입하지 않아, 자유도가 높고 개발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쉽게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MSA 관리 플랫폼 만들기
- 스타트업부터 대규모 기업까지, 초기엔 가볍게, 성장 시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는 MSA 인프라를 표준화 하기
- 모니터링 등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기능을 고도화 하기
-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오픈소스로서 개발해보기!
최신 기술, 같이 배워요!
- 컨테이너, Kubernetes, IaC 같은 최신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실전에서 경험할 수 있어요.
- 오픈소스 기여 이력을 쌓으면서, 경력과 실력을 함께 키워봐요.
시간은 유연하게, 부담은 덜고요!
- 사이드 프로젝트라서 퇴근 후나 주말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어요.
- 다양한 분야의 멤버들과 협업하며, 네트워킹도 자연스럽게 늘릴 수 있답니다.
- 아이디어가 있다면 직접 구현해보고, PR로 공유할 수 있어요.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합니다!
진짜 서비스 스케일업 경험!
- 작은 로컬 환경에서 시작해 클라우드(Kubernetes)로 확장하는 과정을 직접 설계하고 경험할 수 있어요.
- 이런 실전 경험은 나중에 창업이나 스타트업 참여에서도 큰 자산이 될 거예요.
이 프로젝트는 단순히 기술을 배우고 끝나는 자리가 아니에요.
서로 도우면서 성장하고, 재미있게 만들어가는 공부하는 동료들 같은 느낌이에요.
“이런 경험, 같이 하고 싶어요!” 하신다면, 지금 바로 함께해 주세요!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Go
#Docker
#Kubernetes
#React
#PostgreSQL
#NextJS
이 프로젝트는 지원을 기다리는 중😁
프로젝트 지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