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스토어·네이버 플레이스 등에서 마케팅을 진행할 때, 가장 큰 고민은 "얼마의 광고비 예산을 집행해야 할지"를 정확히 알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키워드에서 6위 이내(노출 상위권)에 들어가려면 어느 정도 비용이 필요한지 알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부동산과 비교하면,
강남 중심부 1층 상가 자리는 임대료가 매우 높은 반면, 강원도 외곽 지역은 상가자리여도 저렴한 것처럼,
키워드 광고도 경쟁 강도마다 필요한 광고비가 천차만별입니다.
하지만 마케팅 영역에서는 이러한 시세(임대료)에 해당하는 광고비의 기준이 투명하게 공유되지 않습니다.
다들 서로 경매처럼 경쟁해야하는 입장이기 때문이죠.
내가 얼마의 비용을 써서 현재 자리를 달성했는지를 다른사람이 알게되는 순간, 현재의 본인 자리가 위험해지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광고주나 대행사 입장에서는 “과연 이 키워드 상위권 진입 비용이 얼마일지?”를 추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저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AI를 이용해 특정 상품·키워드가 상위권(6위 이내)에 진입하기까지 예상 기간과 필요한 비용을 자동 산정하고,
마케팅 진행 프로세스 제안서 및 견적서를 자동 생성하는 솔루션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핵심 기능:
키워드 경쟁 강도 및 현재 상품 순위 분석
원하는 타겟(6위 이내 등)에 진입하기까지의 비용·기간 예측
자동으로 AI 기반 마케팅 제안서 & 견적서(리포트) 생성
타깃 사용자:
마케팅 광고대행사: 여러 클라이언트의 키워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개별 사장님/쇼핑몰 운영자: 본인 상품을 손쉽게 광고하고 싶지만, 구체 비용을 모르는 경우
- 기본적으로 주 1회 정기 회의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필요시 프로토타입 리뷰나 이슈 대응을 위해 임시로 추가 회의를 열 수도 있습니다.
- 온라인: Zoom, zep 등을 이용해 진행 (노션으로 미리 안건 공유, 회의 후 기록 정리)
상시 커뮤니케이션: 슬랙 채널(일정 관리, 진행상황 공유 등)을 위주로 활용
“현직 광고대행사에서 마케팅 기획 & PM 역할 수행, 다양한 광고주의 키워드 세팅과 예산 관리 중입니다.”
광고 예산 집행 및 측정 등 관련 도메인 지식 등은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현재 수많은 광고주들 및 사용자들이 확보되어 있고 테스트 자료도 많이 보유중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은 역할을 담당할 예정입니다.
전체 프로덕트 기획
: AI Agent 구조 설계, API 기능 정의, 요금제 설계, 마케팅 관련 로직 제안 및 도메인 지식 전달
프로젝트 매니징(PM)
: 일정 조율, 인원 모집, 요구사항 관리
(필요 시) 백엔드 협업: CrewAI Agent 인프라 세팅, DB 설계, 로그인/과금 등
추가로, 논의를 함께 이끌어갈 마케팅·개발·디자인 역할 분담 멤버를 충원 예정
참여자 스펙/조건:
가급적 마케팅/광고에 관심 많은 대학(원)생 또는 신입/주니어 직장인.
최소한 주 1회 미팅 &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분.
특이사항 :
실제 바로 수익화 가능한 서비스이므로 1회성보다는
멤버 전원 매월 월세 이상 벌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려 합니다.
#Python
#Figma
#Django
#ai
이 프로젝트는 지원을 기다리는 중😁
프로젝트 지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