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쓰레기통이나 재활용 분리수거함이 어디에 있는지 몰라 곤란했던 경험이 많았습니다.
특히 도심이나 공공장소에서는 위치 파악이 어렵고 정보를 찾기도 번거롭습니다.
환경 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의지는 높지만 정작 실천할 수 있는 인프라는 부족하다는 점에서 문제의식을 느꼈고
이 문제를 데이터 기반으로 해결해보고 싶었습니다.
[1차 목표]
- 쓰레기통 위치 안내 앱 개발
- 공공데이터/API + 사용자 제보 데이터를 활용해 위치 시각화
- 기획서 초안은 작성 완료(추후 공유)
함께 논의하며 구조를 잡아갈 수 있는 PM 분을 모집합니다.
[서비스 개요]
클리냥(가칭)은 인스타그램에서 "팔로워 수만큼 쓰레기를 줍는 챌린지"를 실천하던 선한 영향력의 인플루언서 피드를 보고 영감을 받아 기획되었습니다.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쓰레기 줍기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며
이를 앱으로 체계화하고 확산 시킨다면 더 많은 시민들이 환경 실천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에서 시작된 프로젝트입니다.
클리냥은 도시 속 쓰레기통 위치를 안내하고 시민들이 쓰레기 배출 인증을 통해
포인트를 적립하며 도시 청결에 기여하는 귀여운 ESG 생활 실천 플랫폼입니다.
귀여운 고양이 캐릭터 '클리냥'과 함께 사용자가 작은 행동 하나로 도시를 바꾸는 앱을 만들고 싶습니다.
따라서 1차 목표는 '쓰레기통 위치 안내 서비스'입니다.
공공 데이터/API와 사용자 참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별 쓰레기통 위치를 시각화해주는 앱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기획서 초안은 작성된 상태이며 앱 기획은 처음이라 함께 논의하며 기획 하실 수 있는 PM분 모집합니다.
[클리냥 주요 기능]
- 지도 기반 위치 탐색
- 사용자 실천 기록 (쓰레기 분리수거 인증, 이용 횟수 등)
- 실천 리포트 시각화 (ex. “OO님 덕분에 지구가 깨끗해졌어요!”)
- 사용자 제보 기반 인프라 추가
- 지역별 청결 지수 리포트
추후 장기적으로는 흡연구역, 공중화장실, 재활용소 등 공공 인프라까지 확장할 예정입니다.
[타겟사용자]
- 환경 실천에 관심 있는 MZ세대
- 캠핑족/차박족 등 이동 중 쓰레기처리 위치가 필요한 사용자
- 주변 생활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시민들
주 1회 온라인 기획 회의 (토,일 중 1회) → 필요하다면 상시 개인 미팅 (협의)
커뮤니케이션: Notion / GitHub / GoogleDocs (협의)
개발 일정 공유: GoogleDocs
시연/중간 점검: 줌 회의 및 Figma
온라인은 줌을 활용하고 오프라인 모임은 회의실장소 대관 예정입니다.
현직 IT기획 선임 매니저로 환경규제 컨설팅 및 MSDS 플랫폼 구축 경력이 있습니다.
주요 경험
- 전사 대상 플랫폼 업그레이드 기획 주도
- 사용자 중심 UI/UX 설계 및 개선
- 프로젝트 일정 수립 및 요구사항 관리
-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및 사용자 피드백 반영
이 프로젝트에서 전체 기획/PM/디자인/사용자 플로우 설계를 맡고 있으며
현재는 사이드 프로젝트 형태로 MVP를 준비 중입니다.
다만, 앱 기획은 처음이라 환경 분야에 관심이 많고 같이 논의할 수 있는분을 모집합니다.
직장인/프리랜서 모두 지원 가능
앱 기획 경험 있으신분 환영/프로젝트 1개 이상 완성해보신분 환영
수익화 또는 실제 앱 등록 시 수익 배분 공동 창업도 고려합니다.
실력도 중요하지만 커뮤니케이션과 책임감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PM으로 함께 실무 경험 쌓고 싶은 분 사이드프로젝트 찾는 분 환영입니다.
기획이 어느정도 완성되면 개발자와 디자이너도 순차적으로 모집할 예정입니다.
#Figma
이 프로젝트는 지원을 기다리는 중😁
프로젝트 지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