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콘텐츠 소재 찾아주는 AI 정보 | 프로젝트 & 토이 프로젝트 그리고 IT스터디&네트워킹 , 렛플

프로젝트

[서울] 유튜브 콘텐츠 소재 찾아주는 AI

  • 두디스

    두디스

    (휴대폰 인증) 17일전 로그인
  • 모집 중준비 중
    출시 알림 받기프로덕트 출시(개발완료)되면 팀으로부터 특별한 알림 (이메일/알림톡/푸시 등)를 받습니다.

    모집 현황

    • AI

      2/2
    • UI/UX기획

      1/1
    • 마케팅

      2/2
    • DB/빅데이터/DS

      1/2
    • 웹프론트엔드

      0/1

    출시 플랫폼

    반응형 웹(PC/모바일)
    설치형/SASS 솔루션

    소개

    0. 팀원 모집 (23-10-16 수정)

    안녕하세요, 인공지능 기획자를 만들고 있는 팀 두디스입니다.

    제목에는 이해하기 쉽게 '유튜브 콘텐츠 소재 찾아주는 AI'라고 하였으나 정확히 말하자면 빅데이터와 AI를 이용한 영상 기획 어시스트입니다.

    저희는 현재 PO, 기획2, UI디자이너2, 프론트 2, 백엔드 1, AI 2, 데이터 2, 마케터 2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글트렌드 같은 데이터 대시보드, 노션같은 생산성도구를 제작해보실 프론트엔드 1인을 모집합니다.

    1. 프로젝트 배경

    한 마디로 정의하자면 '트렌드를 분석해 스토리보드로 작성해주는 AI' 입니다.

    다들 알다시피 유튜브는 하는 사람도 많고 보는 사람도 많습니다.

    그 밖에도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같은 숏폼 플랫폼도 생겨나면서 영상 제작 및 공급이 엄청 늘어났죠.

    유튜브 콘텐츠 크리에이터(이하 '유튜버')들은 보통 처음 시작할 때 자신의 전문분야를 이야기하거나 일상을 동영상으로 남기려고 시작합니다.

    일상을 남기는 일기채널은 채널 성장이 목적이 아니라 논외로 하고

    전문분야를 이야기하는것처럼 정보를 주고, 웃음을 주고, 볼거리를 줘서 채널을 성장시키려 하는 사람들은 영상을 처음 올리기 전에

    채널의 주제를 정하지만 개인의 지식만 가지고 1년 이상 채널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소재 고갈)

    통계적인 얘기를 하자면 유튜브 처음 시작하면 가장 어려운게 촬영과 편집이라고 응답합니다.

    그렇지만 영상을 만들다보면 촬영과 편집은 숙달되면서 어려움이 없어졌다고 하는 반면 기획은 더 어려워졌다고 응답합니다.

    • (구독자 1만 미만->구독자 10만 이상으로 가는 동안 촬영/편집이 어려움 39.2% -> 30.9%, 기획이 어려움 35.2%->54.4%로 변화)

    그래서 유튜버들이 말하는 기획에 어떤게 있는지 조사해봤을 때 소재 발굴, 자료 조사, 스토리텔링 이렇게 크게 3개로 나눌 수 있었어요.

    그래서 저희는 빅데이터 수집/분석이 들어간 유튜버 개인 맞춤 소재 발굴, 그 소재와 연관된 자료 큐레이션, 추천소재를 참고해 작성할 수 있는 스토리보드 양식과 협업 기능을 제공해서

    이들에게 '어떤 영상을 찍어야 조회수가 잘 나올지' 데이터를 통해 알려주려 합니다.

    2. 프로젝트 소개

    - 키워드툴, 데이터 대시보드, 노션이 합쳐진 이미지로 생각해주세요.

    - 현재 1차 목표인 소재 탐색 엔진의 시스템 및 AI 개발이 70%정도 완성되었고, 빅데이터 플랫폼 환경에 맞게 클라우드 세팅 중입니다.

    - 소재 발굴 기능과 자료 조사 기능은 9월 출시가 목표며, 이 두 기능만 가지고 서비스 런칭 이후 스토리보드 툴 업데이트시킬 예정입니다.

    - 3개월 이상의 라이브서비스가 목표인 프로젝트로, 지원하시는 분의 목표에 따라 출시 이력 또는 라이브서비스 이력을 얻어갈 수 있을거에요.

    • - 프로젝트 분야는 빅데이터 / saas / 플랫폼이며, 스토리보드 가이드라인을 AI로 작성해주기 위해 gpt-4 api 사용 예정입니다.

      * 프론트엔드 모집 부문

      - 프론트엔드 개발스택은 React, Nextjs, typescript를 사용하고 있습니다.(이건 필수)

    • - 프론트엔드 배포는 AWS SST를 이용해 하고 있습니다.

    • - 모노레포(turborepo, berry 등), 그래프 라이브러리(nivo, chartjs, d3.js 등), zod, storybook의 사용 경험 있으시면 좋고, 안해보셨어도 공부해보고 싶다면 대환영입니다!

    • - 현재 개발 상태 : next13과 turborepo를 이용해 인프라 구축. 구글 로그인 및 유저 개인화를 위한 토큰/쿠키 설정. 데이터 대시보드 part 레이아웃 구현

    • - 아직 초기 상태에 기능 구현을 위한 api는 스웨거로 전달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을 개발해보실 수 있습니다!

    3. 회의 진행/모임 방식 

     

    - 회의는 온라인으로 주 1회하고 있으며, 오프라인으로 월 1회 모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 협업툴로는 노션, 디스코드, 깃헙, 피그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술/언어

    • React

      #React

    • Python

      #Python

    • Figma

      #Figma

    • NextJS

      #NextJS

    • NestJS

      #NestJS

    한줄 소식

    • 아직 새로운 소식이 없습니다

    멤버

    이 [프로젝트]는 지원을 기다리는 중😁

    [프로젝트] 지원하기

    리더 정보

    두디스

    두디스

    휴대폰 인증완료리더 응답률 : 내역이 없습니다

    프로젝트 기간

    22.11.06 ~23.10.27  (356일)

    프로젝트 분야

    뉴스/정보

    구독중인 렛플인 0

    회원 가입하기

    소셜 로그인으로 가입 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전자금융거래약관에 동의함으로 처리됩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