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sub_title
sub_title

블록체인 프로젝트 팀이 NFT나 암호화폐를 판매한 이후에아무것도 하지 않거나,자금을 사업과 무관한 곳에 사용하거나,아니면 그냥 자금을 들고 튀는 일(러그풀)이 빈번합니다.투자금은 이미 투자자의 손을 떠났기 때문에투자자는 아무 것도 할 수 없습니다.저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개발합니다.기본 개념은 토큰 및 NFT 판매 자금을 제3자가 보관하고프로젝트 팀의 출금요청에 대해 DAO가 투표로 결정하는 것입니다.이 솔루션은 WEB 3.0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입니다.플랫폼 사용자는 프로젝트 팀과 투자자 양쪽 모두입니다.2. 회의 진행/모임 방식회의는 온라인(텔레그램 또는 카카오톡)으로 자유롭게 진행되고오프라인 회의는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진행하고 가능하면 온라인 회의로 합니다.3. 단기 목표클레이튼 해커톤에 지원하기 위해서9월 29일 까지 MVP 개발을 완료합니다.=> 2022.09.22 수정 : MVP가 완성되었습니다. 이제 11월 14일 베타버전 오픈을 목표로 합니다.=> '블록체인 난제 해결 챌린지' 본선 진출로 일정 변경. 12월 9일 베타버전 오픈 예정입니다.=> 2022.12.07 수정 : 토큰 발행 체인 변경, 2023년 1월 중으로 베타버전 오픈 예정일 변경4. 모집 분야프로젝트 매니저UI/UX 기획UI/UX 디자인웹퍼블리셔웹프론트엔드 - VueJS웹 서버 - Spring Boot블록체인 - Solidity (단기로는 입출금만, 이후 스테이킹/DAO 관련 기능 등)기타 (어떤 포지션이든 관심 있으신 분은 대환영입니다!)=> 2023.08.07 추가 : PPT(사업계획서나 IR자료) 디자인 잘 하시는 분 계실까요?내용을 잘 적으시는 분도요~5. 기타단기 목표가 뚜렷하기 때문에평소 시간적으로 여유가 좀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관심 있으신 분은 편하게 연락주세요~카카오톡 : pc99이메일 : ayd1029@gmail.com
![[30만 유튜버의 Q&A수익화플랫폼]](https://d1s1r4xme959x6.cloudfront.net/user/12868/images/ChatGPT%20Image%202025%EB%85%84%205%EC%9B%94%207%EC%9D%BC%20%EC%98%A4%ED%9B%84%2012_45_29-1746589537087.png)
[크리에이터 Q&A 웹 플랫폼]MVP출시 완료 – 프론트엔드, 디자이너 모집콘텐츠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팬과 크리에이터 간의 ‘실질적인 소통’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이 프로젝트는 그 틈을 파고드는 새로운 연결 구조를 제안합니다.팬이 질문에 캐시를 걸고 등록크리에이터는 답변을 통해 수익을 획득답변은 공개되지만, 다른 팬은 열람에 캐시를 지불하나의 답변이 반복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질문은 곧 콘텐츠가 되고,답변은 크리에이터의 새로운 수익원이 되며,팬은 참여를 통해 소속감과 만족을 얻게 됩니다.이 구조가 잘 작동한다면,‘팬 중심 유료 콘텐츠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선점할 수 있습니다.[현재 팀 구성]운영/마케팅10대부터 자본 흐름과 사업 구조를 몸으로 익힌 실전형 창업가온라인 마케팅 사업, 플랫폼 운영, 개인 투자 유치 등 비즈니스 전 과정 경험30만 구독자 유튜브 채널 운영 중이며,실버, 골드버튼 유튜버 전용 커뮤니티 다수에 참여하고 있어, 초기 유입 크리에이터 확보 가능백엔드 개발프론트엔드 & 백엔드 모두 가능한 실전형 풀스택 개발자SW 마에스트로 9기 최종 11인 선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포인트 시스템, 인증, 출석체크 등 커뮤니티형 서비스 구현 경험 다수AWS 기반 서비스 운영 경험 → 기술뿐 아니라 운영 안정성까지 고려 가능한 구조 설계 가능기획자다양한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기획 → 팀 빌딩 → MVP → 피봇 → 출시까지 주도한 실행형 PM음악, 법률, 의료 등 다양한 도메인 실전 경험플로우차트, 화면설계서, 정책문서 등 실무 중심 기획 설계 강점혼자 잘하는 게 아니라 함께 완성하는 팀 빌딩형 기획자[모집 포지션]1.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Next.js) (1명)주요 업무Next.js 기반 SSR/CSR 웹 서비스 개발 및 운영사용자 인증 및 세션 관리 구현 (NextAuth 활용)React Query 기반 데이터 연동 및 상태 관리기획/디자인/백엔드 팀과 협업하여 신규 기능 기획·개발Vercel을 통한 CI/CD 및 운영 환경 관리정식 출시 이후 성능 최적화 및 사용자 경험 개선자격 요건React 또는 Next.js 기반 서비스 개발 경험SSR(Server-Side Rendering) 및 SEO 고려 경험API 연동 및 비동기 데이터 처리 경험Git 기반 협업 경험우대 사항NextAuth 또는 OAuth 기반 인증/보안 경험SaaS/스타트업 환경에서의 빠른 개발·출시 경험UI/UX 개선 및 프론트엔드 성능 최적화 경험Vercel 또는 클라우드 기반 배포 경험2. UI/UX 디자이너 (1명)반응형 웹 기반 디자인 설계 가능자깔끔하고 직관적인 UI 설계 경험Figma 사용 가능자 우대※ 본 서비스는 디자인 감도와 구조 설계력이 핵심입니다.‘잘하는 분’보다 ‘잘 맞는 분’을 찾고 있습니다.[협업 방식]커뮤니케이션: 카카오톡 수시 소통 + 디스코드 음성 회의업무 진행은 유연하지만 책임감 있게 조율[지분 및 방향]외주가 아닌 초기 창업팀 빌딩지분 협의 가능 (장기 파트너십 우대)현재 MVP 출시 → 베타 테스트 진행 중한 달 내 PG사 연동 및 정식 출시 예정[이 프로젝트가 특별한 이유]환전 가능한 유료 Q&A 구조팬심 → 질문 → 콘텐츠 → 수익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자동으로 콘텐츠가 축적되는 구조마케팅 자원 및 유입 채널 확보 완료소통이 지루하지 않고, 돈이 되며, 콘텐츠가 되는 구조.이 시장, 누군가는 먼저 시작해야 합니다.그 시작점에 함께하실 분을 찾습니다.https://thefancake.com/

저는 우리가 언제부터 슬픔이나 불안을 '결점'처럼 숨겨야 했을까? 라는 질문에서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우리는 SNS 속에서 더 행복해 보이는 사람과 나를 비교하고, 직장에서는 더 유능한 부품이 되기 위해 나의 솔직한 감정을 억누르곤 합니다.저는 이 문제의 뿌리에, 우리 사회가 한 사람의 '있는 그대로의 존재'보다 그 사람이 가진 '소유'나 '성과'를 더 높게 평가하는 '증명의 시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나의 진짜 감정은 증명의 대상이 될 수 없기에, 우리는 점점 더 외로워지고 있습니다.필닷은 바로 이 잘못된 공식을 뒤집으려는 시도입니다. '증명'의 압박 없이, 나의 모든 감정이 판단 받지 않고 존중받는 안전한 공간을 만들고 싶습니다.그래서 결국에는, 우리가 '무엇을 가졌는가'가 아니라 '어떤 사람으로 존재하는가'로 서로를 바라보는, 더 따뜻한 세상을 만드는 데에 작은 점 하나를 찍고 싶습니다.필닷(Feeldot)은 '좋아요'와 '팔로워' 없이, 오직 진솔한 감정만으로 연결되는, 세상에서 가장 조용한 소셜 네트워크입니다.우리는 모두 행복을 전시해야 하는 '시끄러운 광장'에 지쳐있습니다. 필닷은 그 광장 옆에 자리한, 당신의 어떤 감정이든 안전하게 머물다 갈 수 있는 '고요한 성소' 입니다.필닷에서의 경험은 세 단계로 이루어집니다.1. 기록: 당신의 감정을 하나의 '점'으로 남깁니다. 화려한 사진이나 긴 글 대신, 지금 당신의 감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색'과 '한 줄의 흔적'을 선택하여 익명의 '점'을 찍습니다. 당신의 가장 깊은 생각은 오직 당신만 볼 수 있는 비공개 공간에 안전하게 기록됩니다.2. 공명: 판단 없는 위로를 경험합니다. 당신의 점은 알고리즘의 간섭 없는 '고요한 광장'에 떠다닙니다. 당신은 다른 익명의 점들을 둘러보다, 마음에 닿는 흔적을 발견하면, '좋아요'나 댓글 대신 그저 조용히 당신의 '마음을 겹칠' 수 있습니다. 상대방에게는 "한 명이 당신의 마음에 자신의 마음을 겹쳐왔습니다" 라는 따뜻한 알림만 전달됩니다.3. 성찰: 당신의 내면 우주를 탐험합니다. 당신이 남긴 점들은 오직 당신만 볼 수 있는 '나의 우주'에 쌓여, 당신만의 아름다운 감정 지도가 됩니다. 필닷은 때때로 당신의 우주를 보며, "최근 당신의 우주에는 푸른색 점들이 자주 보였네요. 혹시 무언가 그리워하는 마음이 있었을까요?" 와 같이, 스스로를 깊이 돌아볼 수 있는 철학적인 질문을 던질 겁니다.필닷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무엇을 뺐는가'에 있습니다.저희는 당신의 영혼에 소음이 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도적으로 뺐습니다. 경쟁을 유발하는 좋아요와 팔로워, 상처를 줄 수 있는 댓글과 DM, 서열을 매기는 랭킹.이 모든 것이 없는 공간에서, 우리는 비로소 가장 진실한 모습으로 서로의 존재에 공명할 수 있습니다.필닷은 더 많은 사용자를 모으는 것보다, 단 한 사람이라도 자신의 진짜 모습을 마주할 용기를 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것은 앱을 넘어, 새로운 방식의 연결을 제안하는 하나의 '철학적 실험' 입니다.필닷의 타겟 사용자는 나이, 성별, 직업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정보로 정의되지 않습니다.대신, 저희는 특정한 '마음의 상태'와 '삶의 태도'를 공유하는 사람들을 찾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들을 '고요한 탐험가'라고 부릅니다.'고요한 탐험가'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1. 세상과의 관계:기존 소셜 미디어의 끝없는 '행복 경쟁'과 자기 과시에 깊은 피로감을 느끼고, 그곳에서 진정한 연결을 찾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성공과 효율을 강요하는 세상 속에서, 종종 공허함을 느끼고 "나는 지금 제대로 살고 있는 걸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집니다.화려하고 시끄러운 세상의 주류보다는, 자신만의 고유한 가치관과 속도를 지키고 싶어 합니다.2. 그들의 내면:자신의 감정을 깊이 들여다보고, 삶의 의미에 대해 성찰하는 것을 즐기는 내향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화려한 성공이나 물질적 소유보다, 진솔한 자기표현과 내면의 성숙을 더 중요한 가치로 여깁니다.타인의 시선이나 평가에 민감하지만, 동시에 그렇기에 더욱 진실한 관계를 갈망합니다.3. 그들이 간절히 찾는 것:자신의 가장 연약하고 솔직한 감정을 드러내도 괜찮은, 판단 받지 않는 심리적 안전지대를 찾고 있습니다.수많은 '좋아요'나 피상적인 관계보다, 단 한 명이라도 깊이 공명할 수 있는 진실한 연결을 그리워합니다.세상의 정답이 아닌, '나만의 답'을 찾아가는 여정을 지지받고 싶어 합니다.반대로, 더 많은 친구를 사귀고, 자신의 인기를 확인하며, 빠르고 자극적인 콘텐츠를 소비하고 싶은 분들에게는 필닷이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결론적으로, 필닷은 세상의 모든 '고요한 탐험가'들을 위한 등대입니다. 사용자가 10대 학생이든, 30대 직장인이든, 60대 은퇴자이든 상관없습니다.사용자의 영혼이 '증명'이 아닌 '존재'의 방식을 찾고 있다면, 이미 필닷이 기다리는 사람입니다.2. 회의 진행/모임 방식1주일에 1회, 정기적인 '싱크' 모임을 진행합니다.이 모임은 업무 진행 상황을 체크하는 시간이 아닙니다.우리가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지, 필닷의 철학에서 벗어나지 않았는지 서로의 '영혼을 동기화'하는 시간입니다.각자 한 주 동안 했던 창작의 과정과 고민의 의미를 나누고, 다음 한 주 동안 우리가 집중해야 할 가장 중요한 질문이 무엇인지 함께 정하게 될 겁니다.그 외의 긴급한 논의가 필요할 때는,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비정기적인 모임을 열 수 있습니다.저희는 디스코드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만 소통하며, 다음과 같은 원칙과 도구를 사용합니다.정기 싱크 모임: 저희는 1주일에 1회, 텍스트 기반의 비동기 싱크를 진행합니다. 매주 제가 #철학-그리고-성찰 채널에 한 주 동안 함께 고민할 질문을 던지면, 팀원들은 각자 가장 깊이 몰입할 수 있는 시간에 자신의 생각을 글로 공유합니다. 저희는 빠른 결정보다, 한 사람 한 사람의 깊은 성찰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주요 커뮤니케이션: 디스코드를 메인 소통 채널로 사용합니다.하지만 저희는 실시간 소통의 압박을 최소화하고, 각자의 깊은 집중과 고요한 휴식을 존중하기 위해 '비동기 소통'을 지향합니다.즉각적인 답변을 기대하지 않는 문화 속에서, 충분한 생각과 성찰을 거친 대화를 나누게 될 겁니다.업무 공유는 #작업-로그 채널에, 철학적 고민은 #철학-그리고-성찰 채널에 남기는 등, 우리가 함께 설계한 채널의 목적에 맞게 소통할 것입니다.3. 저의 경험 및 역할- 저에게는 회사에 재직하며 얻은 경력은 없습니다.대신, 저는 지난 몇 달간 '필닷은 왜 세상에 필요한가?' 라는 단 하나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그 어떤 프로젝트보다 깊고 치열한 탐구의 시간을 보냈습니다.경험:1. 철학적 탐구와 문제 정의: '과잉 연결 시대의 정서적 고립'이라는 시대적 문제의 본질을 파고들며, 필닷의 철학적 기반(WHAT, WHY, HOW)을 수립했습니다.2. 프로덕트 비전 설계: 세상에 없던 '고요한 성소'라는 컨셉을 구체화하고, 사용자의 감정 흐름을 중심으로 한 핵심 경험을 설계했습니다.3. 프로토타이핑: Figma를 이용하여 필닷의 핵심 철학을 담은 첫 번째 UI 프로토타입을 직접 완성했습니다.저의 가장 큰 경험은 '기존의 방식'을 따르지 않고,오직 '본질'에 대한 질문만으로 새로운 길을 만들어 본 경험입니다.아직 세상의 성공 공식에 물들지 않은, 순수한 시선이 이 프로젝트의 가장 큰 자산이라고 믿습니다.저는 이 프로젝트의 '철학의 수호자' 이자 '프로덕트 오너' 역할을 맡게 됩니다.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북극성의 제시: 우리 팀이 길을 잃지 않도록, 필닷의 핵심 철학과 비전을 끊임없이 상기시키고 지켜냅니다.본질적인 질문: "이것이 과연 필닷다운가?" 라는 질문을 던져, 우리의 모든 결정이 사용자의 '존재'를 향하도록 이끕니다.최종 의사결정: 팀원들의 깊은 통찰과 의견을 존중하고 경청하며, 최종적으로 우리 팀의 '헌법'에 가장 부합하는 방향으로 결정을 내립니다.저는 명령하는 리더가 아니라, 팀원들이 각자의 영역에서 최고의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정원사'가 되고 싶습니다.제가 가진 비전이 아직 부족할 수 있기에, 저의 동료가 되어주실 당신과 함께 이 철학을 더 단단하게 만들고, 모든 것을 함께 논의하며 나아가고 싶습니다.4. 기타이 프로젝트는 저에게도 거대한 도전입니다.수없이 제 자신에게 이 길이 맞는지 물었고, 때로는 깊은 안개 속에서 길을 잃은 듯한 기분도 느꼈습니다.'증명'이 아닌 '존재'를 이야기하는 것이, 이 시대에 얼마나 무모하고 '말이 안 되는' 일인지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하지만 그럴 때마다 확신하게 되는 것이 있습니다.이 세상 어딘가에는, 저와 같은 질문을 품고, 같은 아픔을 느끼며, 새로운 종류의 연결을 갈망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있다는 믿음입니다.어쩌면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 제가 오랫동안 찾아 헤매던 바로 그 사람일지도 모릅니다.저는 당신에게 완벽한 리더나 정해진 정답을 약속할 수는 없습니다.하지만, 당신의 영혼이 지치지 않도록 가장 안전하고 고요한 정원을 가꾸고, 당신의 목소리에 그 누구보다 깊이 귀 기울이겠다고 약속할 수 있습니다.기술이 아닌, 사람의 마음에서 시작하는 이 위대한 여정에, 저의 동반자가 되어주세요.긴 글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