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_bunzee

오픈소스의 재정의: OSS도 이제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 매거진에 참여하세요

questTypeString.01quest1SubTypeString.01
publish_date : 25.07.22

오픈소스의 재정의: OSS도 이제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오픈소스 #OSS #스타트업 #전략 #깃헙 #Stars #유료화 #BM #사업모델

content_guide

더 이상 ‘무료’만은 아닌 오픈소스

오픈소스(OSS)는 한때 “자유롭고 열린 협업”의 상징이었습니다. 누구나 코드를 열람하고, 개선하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철학.
하지만 2025년 현재, 이 오픈소스가 점점 더 영리화되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단순한 선의나 협업 정신만으로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현실 때문입니다.

개발자들의 노력, 커뮤니티의 유지, 문서화, 보안 패치, 릴리즈 관리… 이 모든 건 시간과 돈이 드는 일입니다.

그리고 이제 많은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이 비용을 회수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있습니다.

돈이 되는 오픈소스: 누가 어떻게 벌고 있을까?

과거에는 ‘기여자’와 ‘소비자’가 분리돼 있었지만, 이제는 ‘창작자’가 바로 ‘사업자’가 됩니다.

실제로 아래의 모델이 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OSS 비즈니스 모델 5가지

모델명

설명

대표 사례

Open Core

핵심 기능은 무료, 프리미엄 기능은 유료

GitLab, Redis Enterprise

Hosted Service

OSS를 직접 운영하기 어려운 사용자들을 위해 SaaS 형태로 제공

MongoDB Atlas, Supabase

Dual License

커뮤니티용 오픈소스 + 상업용 라이선스 구분

Qt, MySQL

Support & Training

OSS 도입 기업 대상 컨설팅, 교육, 운영 지원 서비스

RedHat, HashiCorp

Developer Tooling

오픈소스 기반 도구를 무료로 제공하고 주변 생태계(클라우드, 확장팩 등)에서 수익화

Vercel, Sentry, Tailwind UI

OSS 스타트업의 폭발적 성장

이러한 모델 덕분에,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스타트업들이 실제 VC의 러브콜을 받고 있습니다.
기술만 좋은 것이 아니라, 사용자 확보 → 커뮤니티 성장 → 수익 전환이라는 흐름이 명확하기 때문입니다.


대표 OSS 스타트업 사례

회사명

주요 OSS 제품

누적 투자금

비즈니스 모델

Vercel

Next.js

$300M+

Hosted SaaS, 플러그인

HashiCorp

Terraform, Vault

$350M+

Support & Enterprise

PostHog

PostHog

$27M+

Open Core, Hosting

Airbyte

Airbyte

$180M+

Hosted Platform

Supabase

Supabase

$116M+

Hosted, SaaS

이들은 단순한 무료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프로덕트 기반의 비즈니스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라이선스 전쟁: 오픈소스의 철학은 어디로?

흥미로운 건, 많은 프로젝트들이 더 이상 전통적인 MIT, Apache 2.0 등의 라이선스를 고집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대신 등장한 것이 바로 비영리 사용자만 허용하거나, 클라우드 기업에 제한을 거는 ‘비공식 오픈소스 라이선스’들입니다.

대표적인 라이선스 변화 흐름

  • - Elastic → SSPL: 아마존이 ElasticSearch를 리포크하자 라이선스를 바꿔 대응

  • - Redis → Redis Source Available License: 호스팅 업체의 재판매 방지 목적

  • - MongoDB → SSPL: 클라우드 기업에 의한 OSS 수익화 방지

  • - Sentry → Business Source License (BSL): 4년 후 오픈되는 제한적 오픈 라이선스

는 “진짜 오픈소스냐?”는 철학적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현실적으로는 지속 가능한 OSS 운영을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GitHub Star는 더 이상 ‘좋아요’가 아니다

예전에는 GitHub Star가 단순한 관심 지표였다면, 요즘은 VC와 기업도 이 숫자를 제품 초기 트랙션의 주요 지표로 봅니다.
GitHub Star 수만으로도 첫 투자금을 유치하는 사례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왜 GitHub Star가 중요한가?

  • - 오가닉 검색 유입의 핵심 채널

  • - 포지셔닝과 네임밸류 강화

  • - 커뮤니티 성장의 신호탄

  • Star → 사용 → 유료 전환까지 이어지는 파이프라인 확보

그래서 요즘 OSS 창업자들은 제품 개발만큼이나 GitHub SEO, 리드미 구성, 스타 유도 전략에도 공을 들입니다.

OSS 창업, 이제는 전략의 문제다

이전까지는 기술력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제품 설계 + 비즈니스 설계 + 커뮤니티 전략까지 동시에 요구됩니다.

성공적인 OSS 스타트업을 위한 구성 요소

  • 1. 기술적 우위: 성능, 문서화, 확장성

  • 2. 제품 구조: Open Core vs Full Open, 어디까지 무료?

  • 3. 커뮤니티 전략: 스타 유도, issue 응답, 기여 가이드

  • 4. 수익화 전략: SaaS, 라이선스, 서포트 모델

  • 5. 팀 구성: DevRel, Growth, Docs 전문가

한마디로, OSS도 이제는 제품이자 사업으로 접근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오픈소스는 죽지 않았다, 단지 진화했을 뿐

“오픈소스는 끝났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라이선스가 까다로워졌고, 무료가 사라졌으며, 상업적 모델로 변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는 끝이 아니라 진화입니다.

개발자들의 헌신이 제대로 보상받고, 기술이 제대로 살아남고, 사용자에게 더 좋은 제품이 만들어지기 위한 자연스러운 흐름이죠.

오픈소스는 이제 기술이자 철학일 뿐 아니라,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지금, 이 새로운 시대의 한가운데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