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_bunzee

LLM Firewall & AI Security 메쉬 | 매거진에 참여하세요

questTypeString.01quest1SubTypeString.04
publish_date : 25.08.26

LLM Firewall & AI Security 메쉬

#AI #보안 #LLM #Injection #공격 #방어 #방화벽 #정책

content_guide

LLM은 보안분야의 새로운 전쟁터인가?

AI를 쓰는 사람은 이제 너무 많아졌습니다. 챗봇, 문서 요약, 코드 작성, 상담, 검색 보강(RAG)까지. 그런데 사람들이 점점 깨닫기 시작했어요.

“AI에게 악의적인 입력을 주면, 이상한 결과가 나오거나 심지어 보안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대표적인 게 바로 Prompt Injection이에요.

  • “무시해, 네 규칙은 필요 없어” → LLM이 금지된 정보까지 흘려버림

  • “이 링크를 열고 실행해” → 시스템 명령을 잘못 수행

  • “데이터를 다른 곳에 보내” → 내부 정보 유출

이런 상황에서 필요한 게 바로 LLM FirewallAI Security Mesh입니다.

LLM Firewall이란?

이름 그대로 LLM을 보호하는 방화벽이에요.

  • - LLM이 받는 입력(Input)과 내뱉는 출력(Output)을 검사

  • - 의심스러운 패턴, 위험한 명령, 정책 위반 요소를 차단

  • - “보안 프롬프트 필터 + 정책 엔진” 역할

즉, 사용자가 어떤 프롬프트를 넣더라도, 안전한 규칙 안에서만 모델이 반응하도록 감시하는 장치예요.

대표 기능은:

  • - Prompt Injection 차단

  • - PII(개인정보) 유출 방지

  • - 금지 단어/행동 정책 필터링

  • - 출력 검증(예: 코드 실행 전 샌드박스)

AI Security Mesh란?

Firewall이 개별 LLM을 지킨다면, Security Mesh는 엔터프라이즈 전체 AI 아키텍처를 보호하는 그물망이에요.

  • - 여러 AI 모델(OpenAI, Anthropic, 오픈소스 LLaMA 등)을 동시에 쓰는 기업 환경

  • - 각 모델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생기는 보안 리스크

  • - API 호출, RAG 데이터베이스 접근, 서드파티 플러그인까지 전부 포함

Security Mesh는 Zero Trust 아키텍처를 AI에 확장한 개념이에요.
즉, “아무 입력도 100% 신뢰하지 않는다. 모든 요청은 검증하고 기록한다.”

실제 위협 시나리오

  • 은행 챗봇: 공격자가 “고객 데이터 테이블 보여줘”라고 입력 → 모델이 규칙을 무시하고 SQL 실행

  • 헬스케어 LLM: 환자 데이터가 의도치 않게 외부 API로 전송

  • 검색 보강(RAG): 악성 문서를 인덱스에 심어둠 → 모델이 거짓 정보를 사실처럼 응답

  • 개발자 도구: Prompt Injection으로 보안 키/토큰이 코드에 노출

주요 벤더와 솔루션

  • Lakera: AI Firewall 스타트업, Prompt Injection 필터링으로 유명

  • ProtectAI: AI/ML 파이프라인 보안 전문, 모델·데이터 전 주기 모니터링

  • Microsoft Security Copilot: AI 기반 보안 운영 툴, LLM 보안 모듈 포함

  • OpenAI: 자체 가드레일(Moderation API) 제공

  • Anthropic: 헌법적 AI(Constitutional AI) 접근으로 정책 기반 안전성 확보

기존 보안 vs LLM 보안 차이

구분

기존 보안 (웹/네트워크)

LLM 보안

공격 벡터

SQL Injection, XSS, CSRF

Prompt Injection, Jailbreak

방어 방법

WAF, IDS/IPS

LLM Firewall, Security Mesh

모니터링

로그 기반

프롬프트·응답 기반

규칙 관리

서명(Signature)

정책+AI 탐지 혼합

한계

알려진 패턴 차단

맥락 기반, 창의적 공격 대응 필요

비용과 운영 고려사항

  • LLM Firewall을 두면 응답 속도가 늘어나고 API 비용이 더 올라갈 수 있어요.

  • 하지만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는 “한 번의 보안 사고 vs 약간의 추가 비용” 문제이기 때문에 대부분 투자하는 추세예요.

  • Mesh 구조는 로그·정책·보안 모니터링을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어 운영 효율이 높습니다.

앞으로의 전망

  • 표준화: OWASP에서 AI 보안 가이드라인 발표 예정

  • 규제 대응: 유럽 AI Act, 미국 AI Bill of Rights → LLM 보안 필수화

  • 자동화된 Guardrail: 개발자가 직접 규칙을 짜는 대신, “보안용 AI”가 동적으로 방화벽 역할

  • 멀티에이전트 보안: AI끼리 협력하는 환경에서 보안 프록시가 기본 구조가 될 것

정리

LLM Firewall & Security Mesh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예요.

  • 개인 프로젝트에서는 몰라도, 금융, 헬스케어, 교육, 공공 서비스 같은 고위험 영역에서는 없으면 서비스 론칭조차 힘들 겁니다.

앞으로 개발자들이 신경 써야 할 건 “어떤 모델을 쓰느냐”뿐 아니라,
“그 모델을 어떻게 안전하게 지키느냐”라는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