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_bunzee

C2PA 기술 심층 분석 및 도입: 컨텐츠 진위분석 | 매거진에 참여하세요

questTypeString.01quest1SubTypeString.04
publish_date : 25.10.21

C2PA 기술 심층 분석 및 도입: 컨텐츠 진위분석

#컨텐츠 #검증 #C2PA #기술 #도입 #딥다이브 #상세 #기술문서

content_guide

AI 생성 콘텐츠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C2PA (Coalition for Content Provenance and Authenticity) 표준이 빠르게 확산 중이다.
C2PA의 기술 구조, JSON Manifest 예시, 서명·검증 API 구현 흐름까지 실제 개발 관점에서 조금더 알아보자.

왜 C2PA인가?

AI가 만든 텍스트, 이미지, 영상은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게 진짜인가?”를 판별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면 콘텐츠 신뢰도는 급격히 떨어진다.

C2PA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산업 표준 프레임워크다.

  • - 콘텐츠의 출처(Who made it)

  • - 생성 시점(When)

  • - 변조 여부(Integrity)
    를 검증 가능한 형태로 기록한다.

이 표준은 Adobe, Microsoft, OpenAI, BBC, Nikon 등이 주도하며, Sora 2, Firefly, Nikon 인증 카메라 등 실제 제품에 이미 적용되고 있다.

C2PA 기술 구조 개요

C2PA는 크게 다음 세 단계로 동작한다.

[생성]  → [서명(Signing)] → [배포(Distribution)] → [검증(Verification)]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Manifest

콘텐츠 생성/편집/변조 정보를 담은 JSON-LD 문서

Assertion

“이 콘텐츠는 AI로 생성됨”, “카메라 촬영” 등 구체적 주장

Claim

Assertion 집합의 디지털 서명 버전

Manifest Store

Manifest를 파일 내부(XMP)나 외부 링크로 저장

Verifier

브라우저/앱에서 서명 검증 수행

Manifest 예시 (JSON-LD 구조)

아래는 AI가 이미지를 생성할 때 첨부되는 C2PA Manifest의 예시다.

{
  "@context": "https://schema.c2pa.org",
  "claim_generator": "Sora 2",
  "claim_generator_version": "2.0.1",
  "claim_created": "2025-10-15T10:42:00Z",
  "claim_title": "AI Generated Video",
  "assertions": [
    {
      "label": "ai_generated",
      "data": { "model": "GPT-Video-v2", "temperature": 0.8 }
    },
    {
      "label": "capture_device",
      "data": { "device": "virtual", "software": "OpenAI Sora" }
    }
  ],
  "content_bindings": {
    "alg": "sha256",
    "hash": "csha256:bc91c9d1c63b4b0a93cfa3d4a4..."
  },
  "signature": {
    "alg": "ECDSA",
    "issuer": "OpenAI",
    "cert": "-----BEGIN CERTIFICATE-----...",
    "signature_value": "3045022100d4..."
  }
}

주요 필드 설명

필드

설명

claim_generator

콘텐츠 생성 주체 (예: 모델명, 서비스명)

assertions

AI 생성, 촬영, 편집 등의 명시적 정보

content_bindings

해시값으로 실제 파일과 연결

signature

디지털 서명 (공개키 기반 검증 가능)

워터마크와의 관계

C2PA는 파일 내부 메타데이터(XMP) 기반 인증이지만,
실제 콘텐츠 위조 방지를 위해 비가시적 워터마크와 함께 사용된다.

  • C2PA = 출처 인증 (메타데이터 기반)

  • 워터마크 = 위조 방지 (신호 기반)

Sora 2나 Adobe Firefly는 두 기술을 이중 적용한다.
→ 메타데이터는 서명으로 보호, 워터마크는 시각적·청각적 변조 감지에 대응.

C2PA 서명(Signing) 과정

C2PA Manifest는 단순히 JSON을 첨부하는 것이 아니라,
서명 프로세스를 거쳐 콘텐츠 무결성을 보장한다.

graph TD
  A[AI Content Creation] --> B[Generate Manifest]
  B --> C[Compute SHA256 Hash]
  C --> D[Sign Manifest with Private Key]
  D --> E[Embed into Content Metadata]
  E --> F[Publish]

예시 (Node.js pseudo code)

import { createSign } from "crypto";
import fs from "fs";

const manifest = JSON.stringify({ claim_generator: "Sora 2", claim_created: new Date().toISOString() });
const hash = crypto.createHash("sha256").update(manifest).digest("hex");

const signer = createSign("SHA256");
signer.update(hash);
const privateKey = fs.readFileSync("private.pem", "utf8");
const signature = signer.sign(privateKey, "base64");

fs.writeFileSync("manifest.c2pa.json", JSON.stringify({ ...manifest, signature }));

검증(Verification) API 예시

검증 과정은 Manifest를 파싱하고, 공개키로 서명을 확인하는 순서다.
간단히 Node.js 기반 예시를 보면 다음과 같다.

import { createVerify } from "crypto";
import fs from "fs";

const manifest = JSON.parse(fs.readFileSync("manifest.c2pa.json", "utf8"));
const publicKey = fs.readFileSync("public.pem", "utf8");

const verify = createVerify("SHA256");
verify.update(manifest.content_bindings.hash);
const isValid = verify.verify(publicKey, manifest.signature.signature_value, "base64");

console.log(isValid ? "✅ Valid C2PA signature" : "❌ Invalid or tampered content");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C2PA 공식 JS SDK 또는 Adobe Verify API를 활용하면 된다.

실제 구현 흐름 (예: OpenAI Sora 2)

단계

설명

1

AI 영상 생성 (Sora 2)

2

JSON Manifest 생성

3

SHA256 해시 및 서명 (ECDSA)

4

Manifest를 XMP 메타데이터에 삽입

5

비가시적 워터마크를 프레임 단위로 삽입

6

배포 시 브라우저에서 검증 API 호출

7

“Authentic / AI-generated” 배지 표시

브라우저 진위 표시 예시 (UI)

현재 C2PA를 지원하는 브라우저/도구는 다음과 같다:

브라우저는 Manifest 내 issuer와 signature 를 확인해 UI에 “AI-generated” / “Authentic” 표시를 오버레이한다.

개발 시 고려사항

항목

체크포인트

키 관리

개인키(private key) 안전 보관, 서버 사이드 서명 권장

Manifest 저장

파일 내부 삽입(XMP) or 외부 JSON 링크 지원

모델 연동

AI 생성 시점에서 Manifest 자동 생성 API 구현

호환성

JPEG, MP4, PNG 등 포맷별 XMP 영역 구조 이해 필요

성능

서명·해시 연산 병렬 처리로 렌더링 지연 최소화

앞으로의 방향

C2PA는 이제 단순한 “출처 표기” 기술을 넘어,
디지털 콘텐츠 신뢰 체계의 표준 레이어로 자리 잡고 있다.

2025년 하반기에는:

텍스트·멀티모달 콘텐츠 지원 (C2PA 1.4) , API 기반 검증 SDK 확장 브라우저 네이티브 통합 이 예정되어 있다.

결국 모든 AI 콘텐츠는 “검증 가능한 출처 정보”를 내장하게 될 것이다.
이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AI 시대의 투명성과 신뢰를 보장하는 프로토콜이다.

📘 Reference